반응형

2022/08 259

[아포유] 서울 아파트 가격 2~3억씩 폭락, 그 이면에는?

https://www.youtube.com/watch?v=XBdy2t5f6JM 부동산의 특수성입니다. 동과 동 사이에 같은 면적대라도 억대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층별 조망 차이도 있죠. 가격적 특수성을 무시하고 단순하게 얼마나 하락했다? 그러니까 선동당하는 것입니다. 로열층은 매물이 잘 나오지도 않습니다. 불편함이 있으니 이사를 가는 겁니다. 그러니 불편함이 많은 층의 매물이 많습니다. 그 과정에서 심리가 얼어붙어 하락기엔 로열층을 사지 않고 저가 매물만 거래만 됩니다. 오를 때는 로열층이 거래되죠. 착시 현상이 나타나기 십상입니다. 그리고 임차인 조건도 있습니다.

[구만수] 도시를 만들 때는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닙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R7jSEhjZ-s&t=869s 도시를 만들 때는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닙니다. '캐퍼시티, 용량.' 도시 설계를 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은 '구역계 설정'입니다. 경계선 확정. 분당, 일산, 평촌 등. 경계 확정. 면적이 나오면 인구를 얼마나 넣을 것인지 나옵니다. 몇 가구를 넣고 가구당 3~4명, 공원을 얼마나? 등. 단도직입적으로 이 도시에는 50만 명 살게끔 만들어 놓은 도시에 도로, 학교, 상수도, 하수도, 공원 등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1기 신도시를 확대시키겠다? 50만 인구를 계획한 도시에 재건축을 해서 75만 명이 들어간다? 인구가 늘어나게 되면 학교는 그대로고 공원도 그대로고 도로도 그대로고 하수도 상수도도 그대로고 엄청 열..

[직방 - 박병찬] 부동산 거래 침체, 이때부터 풀릴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x_xgyPPNMc&t=24s '언제 오를까요?' 보다 '언제 거래가 나올까요?'가 먼저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거래가 수반되면 항상 오르진 않지만 원칙적으로는 가격이 오릅니다. 지금 여러 가지 급매물들이 있는데 단지를 검색해보면 있는데 1개 있습니다. 급매물 하고 일반 매물 하고 하락기에는 비슷한데 조금 더 싼 것이 거래되는 거죠. 지금은 격차가 큰 것으로 단기성 급매물입니다. 급매 물량이 적습니다. 조금 더 많아지고 고르는 선택이 많아지는 시기에 매수하는 허들이 사라져야 합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면 거래가 나올 것입니다. 거래가 이제 몰아서 나올 것입니다. 이연 수요. 거래가 터지는 정도에 따라서 가격도 움직일 것입니다...

[부동산김사부TV] 집 안팔리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것

https://www.youtube.com/watch?v=2s6ZTFaVk9U 김진명의 에서 발췌했습니다. 카지노에서 사정이 딱한 사람이 있자 고수가 비법이 적힌 메모를 전수합니다. 그것은 바로 딱 이만큼만 벌고 일어나라는 지시문이었죠. 제1일 300, 제2일 400, 제3일 200, 제4일 500, 제5일 400 ~ 가능해 보이시나요? 이것과 집이 안 팔리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이렇게 15일간의 목표액을 정해주고 반드시 일어나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할 수 있을까요? 못할까요? 일반인들은 못 합니다. 돈 버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벌고 못 일어납니다. 숫자의 움직임을 눈여겨보세요. 첫날 300. 둘째 날 400. 셋째 날 200. 200으로 떨어질 때 이것을 받아들일 수 있을..

[조사하면 돈나와] 지금 현재 환율이 심각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KvP3m8U21w 환율이 외환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요즘 라면이 핫합니다. 최근에 또 올라간다고요. 확실히 경제 분위기, 물가의 방향 가늠할 수 없죠. 우리 예전에 한 백 원 주고 사 먹었죠 라면을. 요즘 주식 시장이 굉장히 저는 이런 말을 합니다. 초보들이 하기 힘든 시장입니다. 리스크가 해결된 것이 없죠. 그러다가 갑자기 하락 국면으로 어? 어? 하다가 한 번에 가버립니다. 해결되지 않는 악재 최근 주식 시장 어떨까요? 당장 올라갈 재료는 없습니다. 타이밍을 잡는 것은 일반인이 하기 힘듭니다. 최근 하락한 이유가 환율이 심하게 올라서 그 부분이 주가에 반영되었기 때문이죠. 유가가 잡혀서 물가가 안정돼 보이죠. 그러면서 주가가 ..

[아포유] 부동산 투자, 다시는 이런 기회 오지 않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jGRh9jBk5Y 금리 인상에 장사 없다? 대세 하락 시작이다? VS 매물 던지기 하락 징후 없다? 올해 하반기 주택 시장 관건은 일시적 1가구 2 주택입니다. 매수가 어느 정도 붙어줘서 급락이 나오진 않을 거죠. 하지만 이런 판단이 어긋났습니다. 이렇게 거래량이 폭감될 것이라고 생각하진 못했습니다. 급매로 던져도 이득인 사람들은 던지고 있죠. 이것이 하락일까요? 기존 1 주택자의 매물의 호가가 내려와야 합니다. 이러한 급매들 메리트가 큽니다. 서서히 완화책으로 인해서 고민을 하게 되면서 매물이 점점 빠질 것입니다. 지금처럼 깎아서 사는 시점 오긴 힘들 것입니다. 1 주택자들이 내려진 호가에 맞추지를 않죠. 하락장이 아니고 공포 분위기 조성에 ..

[아포유] 집값 얼마나 떨어져야 대세 하락일까?

https://www.youtube.com/watch?v=Ex3Ch-PD1dQ 서울 아파트 매매가 증감률 추이. 외환위기 때 DJ 정부에서 부동산 완화책을 엄청나게 풀었습니다. 전매 제한 등을 전부 풀었죠. 군사 정권에서 규제를 많이 만들었습니다. 가장 강력한 것이 전매였습니다. 청약 당첨되자마자 바로 다음날 매도할 수 있었죠. 로열층에 프리미엄이 붙었습니다. 분양권 거래가 돈이 되니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2002년 월드컵 시즌을 맞이하면서 최고로 달아올랐습니다. 2004년 바닥을 찍었습니다. 서울 행정 수도 이전.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이었습니다. 헌법 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이 났죠. 그리고 다시 급반등을 했습니다. 수도는 서울인데 행정 수도는 대통령 권한으로 옮긴 것이 '세종'입니다. 2008년 이후 ..

[스노우폭스 - 김승호] 돈을 많이 벌면 행복할까요?

https://www.youtube.com/shorts/YhLlZtqhvPM 돈을 많이 벌면 행복할까요? 돈을 많이 번다고 실제로 반드시 행복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은 사실입니다. 비유를 하자면 기름진 밭에 뿌려진 씨앗 같습니다. 기름진 밭은 돈을 말하고 씨앗은 행복을 말합니다. 우리가 씨앗을 기름진 밭에 뿌리면 100개를 뿌렸다 치면 많은 싹이 나올 것입니다. 밭이 좋지 않은데 씨를 뿌리면 상대적으로 100개 중에 한 두개씩은 나옵니다. 살대적으로 숫자가 적을 뿐이죠. 그래서 돈이 많으면 일반적으로 행복을 유지하는데 유리합니다. 걱정을 가만히 생각해보세요. 여러분들 안에 현재 수많은 걱정이 있을 겁니다. 가족 관계, 재정 문제 등 자기가 생각하는 이상과 다른 여러 가지 고민이 돈이 얼마나 있으면 해결될 ..

[로텐 템플턴] 마시멜로 이야기 : 훌륭한 투자자가 되기 위한 방법

스탠퍼드 대학에서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에 대해 다들 아실 겁니다. 흥미로운 실험이죠. 모르시는 분들에게 설명드리자면 1960~70년대에 스탠퍼드 대학에서 진행했던 일련의 실험들입니다. 어떤 실험들이었냐면 아이 앞에 마시멜로 1개를 놓고 어른이 아이에게 말하는 겁니다. "지금 먹어도 되고 나중에 먹어도 되는데 나중에 먹으면 2개를 줄게." 기다릴 수 있는 아이는 당연히 만족의 지연 능력 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겠죠. 이건 더 높은 성적과 삶에서 더 나은 성취를 이루는 것과도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이 발견한 사실은 실험에서 참가한 아이들 중 2/3은 만족 지연을 못했던 겁니다. 2개를 들고 올 그 어른을 기다리지 못한 거죠. 이것이 투자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우리 인간은 스스로 제어하는 ..

우리에게 있는 유일한 능력은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있는 유일한 능력은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을 선택할 순 없어요. 이용당할 수도 있고 공평하지 않을 수 있죠. 안 좋은 상황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반응하는 겁니다. 이것을 알면 많은 자유를 느낍니다. 왜냐하면 통제 밖의 어떤 안 좋은 일이 일어나면 적어도 어떤 사람인지 반응을 통해서 보여줄 수 있거든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