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14024)
-
진화심리학자 '로빈 던바'의 철학
진화심리학자 **로빈 던바(Robin Dunbar)**는 인간의 사회성, 언어, 그리고 두뇌 진화에 주목하며, 진화의 관점에서 인간 행동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학자입니다. 그의 철학과 연구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던바의 수 (Dunbar's Number)핵심 개념: 인간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수는 약 150명.이 수치는 인간 두뇌, 특히 대뇌 신피질(neocortex)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함.침팬지, 원숭이 등의 사회 집단 크기와 두뇌 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도출함.📌 의미: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수백, 수천 명과 깊은 관계를 유지할 수 없으며, 150명 정도가 최대치라는 것.🧠 2. 사회성은 두뇌 진화를 이끌었다인간의 대뇌는 복잡한 사회적..
13:30:57 -
메러비언의 법칙 (비언어적 요소가 미치는 영향력)
**메러비언의 법칙(Mehrabian's Rule)**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비언어적 요소가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입니다. 이 법칙은 미국 UCLA 심리학자 앨버트 메러비언(Albert Mehrabian) 교수가 1970년대에 제시했습니다.✅ 메러비언의 법칙 요약사람이 감정이나 태도를 전달할 때, 수신자가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고 주장합니다:말의 내용(언어적 메시지) : 7%음성(어조, 억양, 말하는 속도 등) : 38%몸짓(표정, 자세, 시선, 제스처 등) : 55%📌 총합: 100%▶ 말보다 **어떻게 말하느냐(목소리와 태도)**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자주 오해되는 점이 법칙은 **"모든 커뮤니케이션에서 말의 의미는 7%밖에 되지 않는..
13:24:30 -
[SoundSound다니엘] 인생 철학 : '정답'보다는 '오답' 피하기
물론 모든 자기 개발사가 그런 건 아니지만 어떤 정답을 알려주는 거 같은 이야기가 굉장히 많습니다. 근데 저는 인생에 있어서 특별한 정답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보편적인 오답을 피하는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제 교육 철학이 뭐냐면, 기본적으로 오답 피하다. 오답 피하기, 사실 인생에서 어떤 것에서도 정답은 없어요. 너무 다양해, 정답은. 그래서 어떤 목표를 이루고 잘 성취하는 사람들 다 자기만의 방식이 있고, 그걸 따라하긴 힘들어. 다만 그런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안 하는 건 있어요. 이게 가장 중요하다는 거지, 제가 실제로 압둘알리 삼생 기억할 거야. 내가 채널 초에 다이어트 강박 심리 다룰 때, 그 무슨 말로 떡상했네? '뭘 안 해서가 아니라 하면 안 되는 걸 자꾸 하니까 살이 찌..
13:19:55 -
부르주아의 유래/어원
"부르주아(Bourgeois)"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현대에는 흔히 "중산층" 또는 "자본가 계급"을 지칭할 때 사용되지만, 그 어원과 역사적 의미는 좀 더 깊습니다.📚 어원 및 유래어원:프랑스어 bourgeois → 중세 라틴어 burgensis → 고대 게르만어 burg (요새, 성벽 도시)원래 의미:“성 안에 사는 사람들”, 즉 중세 유럽의 도시 거주 시민을 의미했습니다.당시 유럽은 농촌에 농민이 많았고, 귀족은 성에 살았으며, 상공업자·장인 등은 성이나 도시 안에 살면서 서서히 자유민 시민계급을 형성하게 됩니다.🏰 역사적 배경중세 후반~르네상스 시기:봉건제의 붕괴와 함께 상공업 발달, 무역 증가로 인해 도시의 상인, 장인 계급이 성장합니다.이들이 귀족도 아니고 농민도 아닌 계층으로 대두..
13:15:53 -
[북토크] 부자의 아이콘이 말하는 '진짜' 부자되는 법
📌 236조 자산가 워런 버핏이 은퇴하며 밝힌 부자 되는 의외의 비결은?워런 버핏이 밝힌 부자 되는 비결의 핵심은 돈이나 투자 종목이 아닌 '사람'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언을 남겼습니다. 💡 워런 버핏이 남긴 세 가지 조언은 무엇인가?도덕적, 지적으로 자신보다 나은 사람과 함께 하라돈에 상관없이 급여가 적어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좋아하는 일을 하라신뢰와 평판을 쌓는 데 집중하라이 영상은 워렌 버핏이 은퇴하며 남긴 조언을 통해 '진짜' 부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핵심은 돈 버는 기술이 아닌 인간 관계와 평판에 있습니다. 첫째, 도 덕적, 지적으로 뛰어난 사람들과 함께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세요. 둘째, 돈보다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고, 함께하는 사람들의 중요성을 잊지 마..
13:11:37 -
[SoundSound다니엘] 중산층(부르주아) 이란?
📌 평범해 보이지만 사랑받는 사람들의 공통점, 즉 '부르주아'의 기준은 무엇인가?다니엘은 알랭 드 보통의 의견에 동의하며, 지극히 평범한 일상과 특별하지 않은 외형으로도 '있어 보일 줄 아는 사람'을 첫 번째 기준으로 제시합니다.💡 다니엘이 생각하는 부르주아의 다른 기준들은?소비를 상품이 아닌 하나의 경험으로 즐길 수 있는 사람평소에 열정을 쏟는 문화, 예술적인 취미가 하나 있는 사람좋아하는 것 하나쯤은 최고를 추구할 줄 아는 사람내 강점을 활용해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이 영상에서는 중산층의 기준과 그에 대한 사회적 관점을 비교하며, 나아가 개인의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한국의 중산층 기준이 물질적인 요소에 치우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프랑스나 영국의 중산층 기준은 보다 다..
10:5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