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13384)
-
[슈카월드] 초광역 지자체가 온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지도를 그리다!'미래 위(개편위) 출범.미래지향적 행정체제개편 자문위원회(권고).(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에 대응) 광역시/도통합, 대도시 거점 기능강화, 자치단체 기능조정,특별지방자치단체 등 자치단체 간 연계/협력 활성화, 자치단체 구역변경,자치계층 재검토, 읍면동 등 하부 행정기구 효율화 등. '수도권 집중화'가 너무 심함.인구와 경제력 모두 수도권 & 충청권 흡수.총인구는 감소하고 비수도권 인구는 25% 감소. 비수도권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일어날 것.수도권으로 경제력/인구 이동이 가속화되고 1차 산업과 전통적 제조업 쇠퇴에직면한 비수도권은 어려움이 가중될 것.단,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비수도권 양극화가 심화될 것.인구가 20~100만명 규모인 중 대도시는 인..
14:00:17 -
[호밀밭의우원재] MBC가 고백했다
MBC 흔들기 차원에서 접근하는 세력들의 준동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한다?준동 : 벌레 따위가 꿈적거린다.진영 논리로 대응?언론이 취해서는 안되는 취할 수 없는 태도임.객관성, 공정성, 중립성 등을 포기한채 좌파 진영 편파 보도를 해왔음.후쿠시마 처리수 문제로 좌우 갈등이 심각했을 때자료, 자막, 사실 조작을 해서 선동을 해왔음. 일관된 정파성을 띠고 있음.반-국민의힘, 반-우파 성향의 시청자들에게 호소. 정치기관 같은 MBC의 작태. 이번 입장문을 통해서 특정 세력을 적대시해왔다고 실토한 셈.
13:26:31 -
[전인구경제연구소] 트럼프는 천재다, 진짜 관세 목적 (ft.중국, 멕시코)
트럼프의 캐나다, 멕시코 보편 관세 25%.(일관된 말을 계속하고 있음 - 공약 이행)이전에는 중국에게 60%만 말했는데 10%만 부과.왜 중국은 10%만 했을까?10%로 시작해서 카드를 쓸 수 있게 내버려 둔 것.(중국 내부의 공포를 키워주는 방식) 트럼프가 파놓은 함정?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서 무관세를 적용했음.중국은 멕시코에 부품, 반제품을 팔아서 멕시코 공장에서완제품을 만들어서 수출을 해왔음.트럼프가 이것을 가만히 내버려둘 수 없었음.정치~경제에 중국에게 잠식을 당한 상황.(그래서 우회 루트 차단)해외에서 생산을 하게되면 다른 부대 비용 증가를 가져와서 메리트가 사라져버린 꼴.중국의 수출길 고사 작전. 캐나다랑 멕시코는 경기침체에 빠지고 환율비 붕괴될 수 있음.헐값에 공장과 시설이 팔리면? 이것을..
13:16:49 -
[전한길] 대구 부자와 서울 부자의 차이점
원간섭기 때는 몽골말 잘하는 사람이 출세.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어, 영어.현대사는 미국이 주도하니까 영어 잘하면 상류층이 됨.한글 문화권이지만 영어가 세계 공용어니까 잘해야됨. 대구에 있을 때는 유학 이런 것을 보았는데강남에 사는 사람들은 초중고등학생 다 유학을 보내버림. 기울어진 운동장. 대학교육 제도 특례입학도 있음.(기회가 많이 주어짐)
2025.02.01 -
[매경월가월부] 운동화 브랜드가 구독 경제를? (온러닝의 사이클론 서비스)
사이클론 서비스.클라우드네오라는 모델(흰색)을 다시 갈아서플라스틱 알갱이로 만들어서 재활용이 가능.프로그램 도입.반환을 위한 판매 모델 : 구독 경제.한달에 29.99달러를 내면 6개월마다 새신발로 바꿔줌.나이키가 아니라 넷플릭스?한계는 흰색으로만 제공되어 질릴 수 있음.(환경적인 측면)넷플릭스의 구독 유지 : 새로운 콘텐츠 욕구.
2025.02.01 -
[월텍남] 딥시크? 과도한 걱정이다?
딥시크 VS 미국 AI 기업.딥시크 모델은 일부 작업에서 경쟁 가능하지만 전체에서는 열세.저비용 개발 주장은 과정 되었으며 기술 발전의 자연스러운 흐름일 뿐.'딥시크가 600만 달러에 훈련? 우리도 클로드 3.5 만드는데 천만 달러 안쪽으로 들었다!'(그래픽카드 렌트료만 개발비로 잡는 것은 말이 안 됨)AI 개발의 핵심원리.스케일링 법칙 : 연산량 증가 = 성능 향상.곡선 이동 : 기술 발전으로 AI 성능 상승, 비용 하락.패러다임 전환 : 새로운 학습 방식(강화 학습)이 AI 성능을 급격히 개선.딥시크 성과와 수출 통제.미국의 칩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 개발?수출 통제의 실패가 아니라 더 필요하다! = AI 전쟁. 딥시크는 소비자용 사례에서 경쟁력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광범위한 인프라를 구축..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