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6/03 14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흙수저로 시작했지만, 노후 금수저가 되는 사람들의 특징

[수저 구분]금수저 : 대학졸업이나 결혼을 전후해 부모님이 정기적으로 상속, 법인 소유.은수저 : 대학 졸업이나 결혼을 전후해 부모님이 주거비 일부 지원.동수저 : 부모님이 대학 졸업 후(결혼 후) 어떤 부양 의무를 지지 않음.흙수저 : 부모님 부양을 취직, 심지어 결혼 후에도 해야 함.(흙수저의 슬픔은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증폭)[순자산 상위 가구]이를 꽉 깨물고 20%선에도 도전하는 수밖에 없음.2만 가구 대상으로 순자산 기준 1% 커트라인은 29억.38억이 넘으면 0.5%, 76억이 넘으면 0.1%.상위 10%(8~9억 전후) 혹은 20%(5억 전후)는 충분히 가능.세계에서 손꼽히는 부자 나라 국민의 순자산 현실은?(크레디트 스위스 은행의 부자 보고서)순자산 100만 달러(12억)이면 세계 상위 1..

[김단테] 엔비디아 이제는 100조 달러 시장에 도전?

컴퓨팅 인플레이션.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기하급수적으로늘어남에 따라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을 써야비용(에너지)이 절감 가능.= 더 많이 살수록 싸다! [AI 팩토리]챗 GPT가 나오기 전까지 인공지능(AI)은 '인지'의 영역.- 자연어 이해, 컴퓨터 비전, 음성 인식.챗 GPT 출시 후에 '생성 인공지능 열풍' 시작.- 이제 '토큰(데이터 최소단위)'를 생성.(토큰 = 자동차 핸들 컴트롤) 1890년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발전기(AC Generator)를 발명.(사실상 전기를 발명)엔비디아는 AI Generator를 발명(토큰 생성).(토큰으로 모든 것이 가능함) AI 팩토리에서 만들어진 토큰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음.(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 인공지능 시장이 30배는 더 커질 것이라고 봄.  무어..

[빌사남] 대한민국 강남구의 CEO가 된 썰 (ft. 작심)

고등학교 졸업하고 창업을 시작.잘하는 게 무엇인지 싫어하는 게 무엇인지 배우기 시작. 부모님 사업이 중간에 무너지면서 돈을 벌어야겠다고생각했고 회사를 하는 게 돈을 벌 수 있겠다고 생각함.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면서 책임감 같은 게 생기고그 안에서 명예로운 스토리를 남기고 싶어서의미 있는 회사로 발전시키고자 하고 있음. 상대적인 경험치를 따라갈 수 없어서절대적인 시간으로 2~3배 노력을 했음. 열심히 = 1등을 할 수 있었던 이유. 안된다고 생각해 본 적은 없음.하다 보면 좋은 기회가 오지 않을까? 수많은 과정에서도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작심'이라는 브랜드로 대한민국 1등이 됨. [독서실을 택한 이유?]진로교육 회사를 창업하다가 접어서이것을 살려서 하려고 생각을 했음.진로 → 진학 → 취업 → 창업.진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