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Turbo832TV] 소비재의 폭을 넓혀야 그릇을 키울 수 있습니다

NASH INVESTMENT 2022. 9. 26. 11:1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9tOBmyQgbtc 

건물 사러 오시는 분들 보면 확실히 20~30억 현금 가량을

움직일 수 있는 IT 스타트업 종사자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만해도 이제 다른 고객분들이 한 100분 정도 계시 다 고치면은

어떤 사업을 해서 자리를 잡은 지는 눈에 보이긴 한 것 같습니다.

저도 미술 시장을 분석해보니까 이 시장에 새로 들어온

30대 신규 컬렉터 중에서 어떤 직종을 가지고 있는지 보면

코인이랑 주식 아니면 IT 스타트업 대표들이 많더라고요.

아무대로 이제 자본력에 따라서 경험하는 게 넓어지죠.

통장에 100만 원일 때 삶의 방식과, 천만 원, 일억, 십억의

삶의 방식이 다른데 저는 똑똑하게 하고 싶었어요.

다행히 또 저는 이제 좋은 지인분들이 있어서

좋은 레퍼런스를 많이 보여주셨습니다.

제가 현금이 3억 있으면 3억, 4억 있으면 4억으로

재미있게 사는 방법이 무엇일까?

이걸 어떻게 하면 더 똑똑하게 현명하게 쓸 수 있을까 하다가

가성비 좋게 지킬 수 있는 돈 지키고

그렇게 하면서 소비를 하고자 했습니다.

젊은 사람들은 요즘 자랑하려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의 폭도 넓어지고 네트워크 열쇠도 됩니다.

경험이 쌓여서 압축을 해서 잘 버무려서 자기 자산으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죠.

자기의 인생 큰 자산으로 가져오기도 합니다.

자신이 이제 무언가 사업을 하거나 일을 제대로

하고 있으면 계속해서 연봉이 높아지고 자산이 늘어납니다.

그 자산의 증가 속도가 J 커브처럼 어느 순간을 지나게 되면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연봉이 늘어난다의 의미가 아니라 투자를 할 때 돌아오는

회수액이 자기가 버는 것보다 훨씬 커지고 이런 순간들이 오죠.

이렇게 보았을 때 선택의 폭이 굉장히 넓어집니다.

어떤 인터뷰에서 교수가 질문을 해요.

'너는 얼마를 벌고 싶어?'

그냥 아무 생각 없이 10억이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그래서 교수가 물어보더라고요.

'10억 벌려면 어떻게 해야 해?'

하나의 팁 아닌 팁을 주셨는데 10억을 벌고 싶으면

10억짜리 사업을 해야 되고 100억을 벌고 싶으면 100억짜리

사업을 할 줄 알아야 된다라는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소비재가 뭐 1~2억이면 크고 작다면 작지만

소비재의 폭을 넓혀야 그릇을 키울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집도 그렇고 사는 동네도 그렇고 차도 그렇고 점점 위로

업그레이드를 할수록 만나는 사람들도 달라지고

보는 시야도 달라지고 소비를 할 때 되게 현명하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돈을 막 쓰는 사람도 있고 그 소비를 통해서

자기가 무언가를 얻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사람이 얼마를 가지고 있냐 보다 무슨 일을 하느냐로 규정된다고 생각합니다.

돈으로 사람을 표현할 수 있지만 저를 대변할 수 있는

짧은 글을 만들어보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