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13049)
-
[칼 아이칸] 행동주의 투자자는 모두 다 같지 않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모두 다 같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여러 유형의 스타일이 있고 다년간 제가 바라본 관점은 제가 여기 나온 이유 중 하나는 '사람들이 전부 단기 이슈만 찾는데 회장님은 주식들을 엄청 오래 보유하셨으니까 여기 한번 나와서 말씀해주세요.' 이 말을 듣고 제가 보통 이런 것은 안 하는데 리스트를 한 번 뽑아왔습니다. 제 자신도 놀랐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오래 가지고 있었는지를요. 어떤 기업은 31년이나 보유하였습니다. 많은 행동주의 펀드들은 단기지향적이지 않습니다. 모두가 다 그렇다고 말할 순 없습니다. 저의 좋은 성과 대부분은 7~9년 보유하면서 나왔습니다. 아무도 원치 않을 때 매수해야합니다. 그것이 바로 비결입니다. 말은 쉽지만 그렇게 하지 정말 힘듭니다. 사람들이 다 싫어할 때 사는 ..
2021.12.04 -
[모건 하우젤] 주식 투자에서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당연한 것이다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어떤 것의 대가가 무언인지 그 대가를 기꺼이 치르겠느냐를 결정하는 거래요. 너무나도 간단하고 뻔한 아이디어죠. 그런데 너무 아득하게 느껴집니다. 사람들이 투자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투자에서 내가 치러야 할 대가는 무엇일까?'입니다. 투자를 잘하면 보상이 무엇인지 확실하잖아요. 그럼 그에 대한 대가는 무엇이냐는 문제입니다. 투자라는 놈이 당신으로부터 무엇을 취할 거냐는 겁니다. '입장료'는 얼마일 거냐는 거죠. 투자에 있어서는 '불확실성'과 '변동성'입니다. 입장료를 안 낼 것이라면 몰래 숨어들어가거나 담장을 뛰어넘어 들어가야 하는데 그렇게는 잘 안 될 것입니다. 투자자로서 전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입장료야' '입장료를 낼 가치가 있어.' '하지만 난 ..
2021.12.04 -
[모건 하우젤] '돈의 심리학'을 저술한 이유
돈의 심리학이란 책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요지는 우리가 돈에 대해 받은 교육과 돈에 관한 일반적인 통념은 수학에 기반을 두었다는 점입니다. 바로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있는 숫자와 공식들 말입니다. 여러분에게 뭘 해야 할지 알려주는 답이요. 제가 배웠던 것은 그게 개인금융이든, 투자든, 사업 운영이든 그건 수학의 영역이 아니었습니다. 소프트 사회과학의 영역이었습니다. 심리학, 사회학, 역사에 더 가까웠죠. 금융에 있어서 잘하는 사람과 잘 못하는 사람을 구분해 주는 요소는 지능도, 교육도, IQ도 아니고 그건 여러분의 '감정'을 컨트롤할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공포'와 '탐욕'의 관계에 대한 문제였고 누구를 믿고 누구한테서 정보를 찾는지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이 모든 것은 아주 쉽게 간과될 수 있는 소프트..
2021.12.04 -
[제레미 시겔] 주식에 장기투자해라
제 생각에 사람들을 놀라게 한 메인 아이디어는 주식이 장기적으로 더 나은 수익을 낸다고 사람들은 알고 있었는데 그런 주식은 그다지 많지 않다는 점입니다. 그들이 몰랐던 것은 주식의 '상대적인 변동성'은 더 내려간다는 점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장기적으로 '랜덤워크'가 아니었다는 말입니다. 주식은 장기적으로 '평균 회귀'하는 특징을 보였고 그 추세선은 몇십년간 '변동성'을 겪고도 회귀하였습니다. 장기적으로 평균 회귀함에 따라 채권과 비교하면 리스크 수준이 단기보다 장기가 훨씬 덜 공포스러웠다는 것이죠. 저는 20년 주기도 봤었고, 10년 주기도 봤었고 5,10,15년 평균 수익률 표준편차는 '랜덤워크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줄었습니다. 제가 닷컴 버블을 맞추는 기고문을 썼을 때 사람들은 '..
2021.12.04 -
[마리오 가벨리] 사적 시장 가치가 상장 시장 가격 대비 어느정도인가
저는 매수에 더 신경을 쓰고 종목 선정은 '바텀업'으로 접근합니다. 매도 관련해서는 만약 저의 판단이 옳다면 그 회사는 인수되거나 청산되거나 하겠죠. 2년 내 50%의 이익을 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투자 시작 전 최소한의 목표로 삼는 '투자 수익률'이죠. 2년으로 잡은 이유는 그보다 길면 '불확실성'이 너무 커지고 그보다 짧으면 아이디어가 실현되기에 '충분한 시간' 안되서입니다. 2년 내 50%로 잡은 이유는 개인투자자에게 연 20%의 자본차익 수익률은 2년이면 40%가 되는 거고 연 20% 중 10%는 인플레의 영향이고 10%는 진짜 수익률이기 때문에 저는 고객들에게 연 10%의 '실질 수익률'을 가져다 드리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저희의 '애셋 플레이'에 의하면 10개 종목 중 9개 종목이..
2021.12.04 -
[워렌 버핏] 밤에 잠이 오지않으면 투자를 하지마라
누군가가 '이거 왜 하세요?'라고 물었을 때 '남들이 다 하니까요'와 같은 것입니다. 당신 행동의 근거를 그렇게만 정하지 않으면 살면서 그 어떤 일을 하더라도 그게 주식 시장이든 어디든 더 나은 삶을 살 것입니다. 제가 본 바보같은 것들은 심지어 불법적인 것들을 남들이 다 하니까 나도 한다고 정당화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남들이 다 한다고 할 필요 없습니다. 닷컴 대열풍에 미친 듯이 버블이 끼어 있었고 당신보다 지능이 50 낮은 이웃이 주식으로 쉽게 돈 벌고 당신 와이프는 옆집 멍청이는 돈을 잔뜩 버는데라며 바가지를 긁어도 다 무시해야 합니다. 당신이 해야 할 것은 당신이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남들이 다들 한다고 부러워하지 마세요.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면 저는 투자를 하지..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