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ㅂ(141)
-
부동산 40억대 자산가가 되기까지
2017~2018년 비트코인 급등장과 급락장에 빚 5천만 원 내서 롱에 베팅했다가 떨어지길래 숏에 베팅하였는데 그때 다 잃었습니다. 결국 마이너스 5천만 원이 찍혔고 순간 만회하고자 대부업체까지 알아보았는데 다행히 대출 승인 거절을 당해서 지금 살아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투자'라는 큰 틀에서 여러 가지 도구가 있는데 주식, 부동산, 채권, 코인 등 하방 경직(업사이드는 무한대고 다운 사이는 막혀있는)이 가장 강한 '투자 상품'을 찾았고 결국 '부동산'으로 귀결됨. (워런 버핏이 강조한 '절대 잃지 마라!'에 부합.) '전세'라는 제도가 선진국 중 우리나라가 유일(전세가 하방을 막아줌)하고 국민 80%의 자산이 쏠려있는 부동산(정책적으로 대마불사), '필수재(모든 국민이 시장 참여자 - 전세/월세/자가)..
2023.06.11 -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근로소득으로 1억, 10억 모으는 시간은?
나라별 근로소득으로 10억 모이는 시간. 스위스 1등, 고소득 국가. 싱가포르, 룩셈부르크, 미국, 아이슬란드, 카타르... 우리나라 36년 7개월. 도시근로자가계 월급 평균은 300만 원 후반임. 1년에 3,600만원~4,000만원. 그러니 20년이 더 걸림.(안 쓰고 모았을 때) 중윗값은 더 낮음. 연봉 3천만 원 직장인이 1억 모으는 데 걸리는 시간? 평균적인 임금 수준이 9~10년 차 3,760만 원 = 4년 9개월 월 저축액이 170만 원. '현금'으로 계산하는 것임. 복리로 성과를 내야 함. 연 7%면 10년이면 2배가 됨.
2023.06.09 -
세상은 평등할 수가 없습니다 (THE PALACE 73)
분양가가 100억 원에 달하는 세계적인 건축 거장(프리츠커상 수상)한 '리처드 마이어'가 참여하는 아파트 'THE PALACE 73' 분양도 전에 화제가 되었음. 그 이유는 바로 '언제나 평등하지 않은 세상을 꿈꾸는 당신에게 바칩니다.'라는 문구 때문임. 박탈감을 조장한다? 부자들이 우월하다는 의식을 이렇게 대놓고 표현한 광고는 처음이다? 한없이 천박한 자본주의? 한국 사회의 총체적 난국을 한 문장으로 표현했다? 그럼 자본주의가 천박하다면 왜 자본주의에서 살고 있나? 그리고 왜 돈을 벌기 위해서 하루 8시간 주 5일을 일하고 있나? 박탈감을 느끼는 것 자체가 지금 '돈'에 집착한다는 뜻임. 한국 사회의 총체적 난국? 모든 선진국들이 마찬가지임. 왜냐하면 선진화는 '양극화'이기 때문임. 결국 배가 아파 죽..
2023.06.08 -
[북토크] 세상의 80%를 바꿀 수 있는 방법 (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인간의 심리를 지배하는 뇌과학의 비밀. 우리가 내리는 의사결정은 뇌속 'BIG 3 시스템'에 기반해서 이루어짐. 빅 3 시스탬은 >, >, >으로 이루어져 있음. '균형 시스템'은 위험과 불확실성을 피하고 조화를 추구하는 시스템. '자극 시스템'은 변화, 호기심, 모험을 추구하는 욕구임. '지배 시스템'은 권력, 지위, 명성을 원하는 '지배하고자하는 마음'임. 모든 사람의 행동을 '빅 3 시스템'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이 가능함. '규율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안정된 질서, 상황 통제 '균형' + '지배' 시스템이 강함. '사치를 부리는 사람'은 새로움 추구, 우월함 과시 욕구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 ('자극' 시스템과 '지배' 시스템.) 빅 3 시스템이 모든 감정, 행동을 만들어냄. 균형 시스템이 중요한 ..
2023.06.06 -
[부동산쿨TV] 3천명 부동산 상담하고 느낀 상위 1% 투자 노하우
'돈'을 지키고 '자산'을 지키는 사람은 '생각 구조'가 다름. 부동산은 돈이 있는 사람이 사는 것이 아니고 돈이 없어도 살 수도 있음. '소득'의 문제가 아니라 '용기'의 문제임. 현금 보유의 문제가 아님. '방향성'과 '용기'. 1억을 운용하기 위해서 1억 3천만 원을 빌려버림. 1억 3천을 빌린 이유는? 1억을 투자해서 '수익'을 내줄 '대상'을 가지고 있으니 '수익'으로 나머지 '이자'를 채울 수 있음. 자산을 잘 굴리는 사람은 '매달 나가는 돈'이 아니라 '크게' 봄. 10억 중에서 내가 5%를 빌리면? 1년에 5천만 원임. 5천만 원을 12로 나누 '월단위'가 나옴. '자산가'들은 월단위가 아니라 크게 봄. 10억을 빌려서 5천만 원이 나가네? 1억이 있으면 2년을 버틸 수 있네! 그리고 11..
2023.06.01 -
[휴먼스토리] 개그맨에서 부자가 된 사람의 인생과 사업 철학 (고명환)
요즘 젊은 친구들이 조금 노력은 함. 그런데 빨리 결과가 안 나타나서 빨리 포기해 버림. 태양은 아침에 7시 반에 뜸. 새벽 3시에 뜨지 않는데 포기 않고 가버리면 해가 떠버림. 과정을 버틸 수 있어야 함. 오로지 돈을 벌겠다? 하루하루가 지쳐버림. 2순위로 좀 누르고 연습해야 됨. > 에서도 20%만 이윤을 남기라는 말이 있음. 2,500년 전에도 30% 이상 남긴 사람은 상스럽다는 소리를 듣고 말년이 좋지 않았음. 무릇 상인이라면 1/5의 이윤을 남김이 마땅하다고 나옴. 20% 남기면 괜찮다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음. 더 많길 수는 있지만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가르는 우를 범하면 안 됨.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