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ㅂ(141)
-
[꽃보다전한길] 자본주의가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는 이유(공산주의가 망한 이유)
북한은 남한보다 과거에 잘 살았음. 남면북양정책할 때 보까지만 지하자원이나 공업은 다 북한에 있었음. 38선 그으면 남한이 손해였음. 수풍 댐에 전기 끊어져서 우리는 전기도 없었음. 6.25. 전쟁은 실패한 전쟁이 되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을 보면은 1960~70년대까지는 북한이 남한보다 잘 삼. 쉽게 말하면 사회주의체제가 굉장히 이상적임. 8시간 노동법. 남녀평등법. 친일파 청산. 땅도 공짜로 나눠줌. 공동으로 일하고 얼마나 좋을까? 이상적이었지만 인간의 본성을 거슬렀기 때문에 결국은 지금의 북한처럼 가장 낙후 국가가 된 것임. 인간의 본성은? 평등이 제일 좋다? '인간의 본성'은 '평등'을 원하지 않음. 상대방보다 무조건 더 편하고 싶고 더 많이 가지고 싶고 더 행복해지고 싶어함. 그 논리에 ..
2023.08.17 -
[설명왕_테이버] AI의 시대, 1등이 결국 구글이다?
'AI'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DATA PROCESSING'임. * AI가 뜨면서 '지스케일러' 등 '클라우드 보안'이 뜨고 있음. 전 세계 'DATA'가 가장 많은 기업은? 1등 : 테슬라 > 자율주행. 2등 : 아마존 > AWS. 3등 : 구글/애플 > 스마트폰(안드로이드, IOS). 4등 : 마이크로소프트 > 윈도우. 5등 : 페이스북/인스타/트위터 '구글'의 위기? 마소보다 속도가 느리기 때문임.(시장 점유율) 구글 역시 '바드'를 출시한 이유? '검색 DATA'와 '알파고'의 역량을 이어나가는 것임. 구글은 '유튜브'를 가지고 있음. 네이버 > 구글 > 유튜브. 정보 검색의 '정확도'가 옮겨가고 있음. 네이버 지식in > 유튜브. 'AI'는 결국 'DATA'가 많은 쪽이 이김. 그리고 '양질'..
2023.07.23 -
[와이스트릿] 주식 투자, '정보'보다는 이제 '논리'가 중요합니다 (오종태 이사)
'글로벌 금융'은 '연결'되어있음. 미국장이 좋아야 우리장이 좋을 확률이 높음. '약세론'을 펼치던 사람들이 두 손 두 발 들고 있음. 작년에 '뷰'가 '충돌'할 때 시장이 된다고 말했다고 AI를 예측(플러스 값) 한 것은 아님. 시장을 좋게 보았던 '이유'를 봐야 함. '결론'만 보면 안 됨. 그 당시 10월 이후 약세론을 펼친 분들의 '핵심'은 글로벌 유동성 축소. 상업용 부동산 문제(시스템 리스크). 무엇이 유효한 '이유'이고 새로운 '이유'가 무엇인지 항상 점검해야 함. '시황'은 '논리' 싸움이지 '정보' 싸움임. 논리 구조를 잘 짜는 사고방식의 싸움. 상승/하락 요인이 구조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세상'은 '연결'되어있음.(복잡계) '강도'가 늘거나 줄어들 수는 있음. '사이즈'가 너무 크면..
2023.06.22 -
[자청] 많은 사업자들이 5년만에 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망하는 이유는 많이 있음. 운이 나빴을 수 있지만 90% 이상은 상품에 '자의식'이 들어가기 때문임. 개인 카페를 연다? 커피를 판매할 때 '자의식'이 들어감. 인테리어하면서 고생한 것 등 피눈물, 감정 등이 사업에 반영됨. 사업에서는 우길 수 없음. '결과'만이 존재함. '개인 카페에 4,000원에 팔 자격이 있나?' '네가 이 상황이면 살 거야?' 스스로 자격에 대해 물어봐야함. 스스로 '의구심'이 드는 사업은 잘 될 수 없음. 사업은 계속 커나가야되고 재구매가 늘어나야하는데 일회성에 그치면 '사기'일 수 밖에 없음. '진짜 이거 안 사면 바보야!'라고 생각이 드는 사업들이 있음. 그런데 매출이 약한 사업은? '본질'이 약함. '본질'을 업그레이드해야함. 나라도 무조건 살만한 상품을 연구개발 끝에 만..
2023.06.21 -
[월급쟁이부자들TV] 직장인이 10억을 만들기 위한 방법 (아웃풋 법칙)
던져보지 않고 말을 하기 싫었음. 책이 말하는 대로 100권, 1,000권 읽어봄. 그런데 '마인드'부터 시작해서 모든 것이 바뀜.(삶 전체가 변화) 책만 본다고 10억을 버는 것은 아님. 책이 중요하다는 것일 뿐임. 10억을 번다는 것은 '성공'하는 삶을 사는 것임. 부자는 '이분법'으로 말하면 철저히 '생산자(공급)'의 역할을 하고 있음. 철저하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제공'한 것. 생산자는 좋은데 그럼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 가치 제공.(창업) 2. 돈이 돈을 버는 구조.(재테크) 예를 들어 아파트를 사서 월세를 받으면 돈이 돈을 벎. 젊은 사람이다? 종잣돈이 적다? 가치를 제공하는 것과 돈이 돈을 버는 것 중 무엇을 많이 해야 할까? 가치를 제..
2023.06.16 -
[켈리 최] 우리나라는 답이 없다? (세이노의 가르침)
1. 그 분야에서 정말 최고 일인자. 2. 최고가 되지 못하지만 자기만족. 3. 다른 길의 일을 통해 경제적 여유를 마련한 뒤 그 돈으로 좋아하는 것 하기. 3번이 더 낫다? 하루에 15시간을 10년 동안 해보면? 어떻게 좋아할 수 있을까? 그런데 업계 최고가 되려면 30년을 해야 함. 모든 좋아하는 일이 싫어해질 수 있음.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살 수는 없음. 그러면 직장을 옮겨 다닐 수밖에 없고 '전문가'가 될 수 없음. 재미있는 수준이 지나가서 일처럼 해야 됨. 그 일을 하면서 꼭대기까지 가야 '돈'이 됨. 워라밸을 할 거다? 그런데 최고가 된다? 이건 있을 수가 없음. 최고들은 그 일에 미쳐서 하루 10~15시간 일을 함. 그런데 몇 년 동안 하면 '돈'이 됨. 워라밸 챙기면서는 절대 최고가 될 ..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