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ㅂ(141)
-
[JCTV] 주식몰빵으로 돈 벌어서 서울아파트 사려고 계획했는데
자산 2020년 6억 원. 2023년 10억 원. 2028년 20억 원. 9억 원짜리가 14억 원이 될 것이라고 봄. LTV 40% 대출받아서 9억 아파트 사고 남은 10억으로 수 이겨내며 이자, 원금 상환 할 것임. 2020년 7월 중위가격이 9억 2천. 2023년 11월 중위가격은 9억 5천. 그 사이 순자산은 6억 원에서 11억 원으로 증가. (전체 자산의 97%가 주식) 주식 투자는 등락이 있을지언정 연평균 10% 이상의 성과를 보여줄 것임.
2023.12.09 -
[하랏] 우리는 왜 명품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할까?
에르메스, 부가티, 람보르기니 등 우리는 명품이나 슈퍼카가 예쁘고 멋있다고 느끼지만 가지려는 행동은 하지 않음. 감당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니 부담스럽기 때문. (리스크) 하지만 끌림. 왜 매력적이라고 볼까요? 희소성. 가지기 힘들기 때문임. 사람은 우선순위를 자신이 없는 것에 둚. 언제가 가질 수 있다면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때문임. 그런데 홈쇼핑 품절 임박이나 맛집 줄처럼 희소하지 않은데 희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음. (인간은 감성적) 다른 사람들은 가졌는데 나는 없다고 느끼는 것에도 희소성을 느낌.
2023.12.08 -
[설명왕_테이버] 한국 주식은 두산로보틱스와 에코프로머티로 나누어 진
위험? 고평가? '투자'가 아니고 '매매(트레이딩)'임. 돈만 벌면 됨. [핵심 포인트] 1. 공매도가 없음. 2. 수급이 몰림. 3. 신고가 랠리. 4. 마땅히 다른 것 투자할 게 없음. 5. 인덱스 편입. ※ 위험해질수록 비중 조절은 필요. 거래량의 30~40%를 가져가는 것은 사람들이 '동의'했다는 뜻임. (3인칭 관점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도 있음) 우선주가 상한가를 가고 SPAC이 날뛰면 '시장' 자체가 망가진 것임. (매매 게임, 시장이 끝물이라는 증거) 장기적으로는 하이 리스크 로우볼륨 로우 리스크 하이볼륨.
2023.12.01 -
[설명왕_테이버] AI시대, 이런 ETF를 공부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매년 20% 성장. 내년도에 얼마를 벌 것이냐?(투더문) '적자'가 줄어드는 기업. '흑자'로 전환할 수 있는 기업. 클라우드가 성장하면 '보안' 비용이 늘어날 것임. 장기 투자용. 스스로 하드웨어를 구축하려면 '돈'이 너무 많이 듦. 소프트웨어 산업은 성장을 함. '클라우드'의 증설 사이클도 봐야함. [ETF] 사이버 보안. HACK. 보안쪽이면 ETF가 좋을 수도 있음. (장기 방향성으로 섹터는 성장할 것임)
2023.11.26 -
[육룡이 나르샤] 맹자가 제나라 왕에게 올린 '외교의 원칙'
유인자, 위능이대사소. 유지자, 위능이소사대. 어진 자만이 큼에도 작은 것을 섬길 수 있고 오직 지혜로운 자만이 작으면서 큰 것을 섬길 수 있다. (외교의 원칙, 사대주의 ↔ 사소주의)
2023.11.17 -
[설명왕_테이버]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수급분석, 익절전략
에코프로머터리얼즈. ex) 두산로보틱스 유통 물량 16%. INDEX. 1. 2차 전지. 2. 코스피 200(1조 이상) 3. 국민연금. 4. EWY(MSCI 간접) 5. FTSE. 좋은 흐름을 보이면? 6개월 이상 갈 수도 있음. 4~5조 → MSCI. * 수급 이벤트로 'V자 반등'이 나올 수 있음.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