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13603)
-
[박병찬] 집값 대폭락 vs 대폭등 (내집마련 포기하신 분! 필수 시청!)
집값이 2022년도에 고점을 찍고 금리 인상에 맞물려 곤두박질침.대부분 2022년도말이나 2023년도초에 다박을 찍음.바닥 시기~현재 시기.전세가율, 갭금액을 비교해야함.저점 시기 대비 전세가율이 올라있다? 갭금액은 내려가있다? = 저평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지역별, 급지별, 가격 수준별로 편차가 존재함.1. 시세를 회복하고 급반등 물건.2. 예전 시세만큼 회복하지는 못한 물건.3. 저점 후 회복하지 못하는 물건.하급지 부동산들이 하반기로 가면서 하락기가 멈추면서 바닥를 다지게 될 것.'바닥'을 확인한 후에는 '반등'이 나옴.고평가 부동산은 일단 지켜봐야함.
2025.02.12 -
[슈카월드]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와 '가상 자산'의 도전을 받고 있다?
제도 개편 이유.우리 주식시장은 상장기업수, 시가총액 등양적인 규모는 계속 확대되어으나 개별 상장기업의기업가치, 성장성 등 질적인 측면(주가)의 발전은 미흡. 자본시장의 밸류업이 필요! 매년 약 100여 개의 기업이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됨.(우리나라 경제 규모를 보면 압도적인 숫자)= 주식시장에 미친 나라. 최근 5년간 주요 국가 상장회사 증가율.(미국의 5배, 일본/대만의 2배 = 화끈한 양적 성장) 최근 5년간 주요 국가 시가총액 및 주가지수 상승률.(대한민국 4%, 시가총액 상승률의 1/10) 우리 IPO 시장은 단기차익 목적 투자가 주를 이룬다!기관투자자도 배정받은 공모주를 상장 직후에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상장함녀 끝이라고 생각하는 황당한 시장) 단기차익 목적의 상장이 되다 보니 수요..
2025.02.12 -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1. 전세 제도(+전세자금대출).글로벌하게 거의 유일하게 채택되고 있는 전세 제도.전세 제도로 인해서 하방 경직성을 강화시키고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가 됨.ex) 매매가가 정체되었을 때 전세가가 오르는데(사람들은 가격이 오르지 않으니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문제는 전세가 상승이 지속되면 어느 순간 매매가를 올려버림(갭투자, 전세 거주자의 매수 등)주거 사다리를 걷어찬다는 여론 때문에 과거 금융분야의 자리가 잡혀있지 않을 때제도인 전세 제도를 단번에 없애지 못함(시장 논리(월세 선호 > 전세 선호)대로 서서히 없애게 만들 수 있을 뿐) 2. 선분양 제도(+주거 정책의 정치화).부동산은 가격이 오르나 내리나 꾸준히 일정 부분 공급을 해줘야 하는데 선분양 제도가 존재..
2025.02.12 -
[부읽남] 미국 주식으로만 돈이 몰리는 이유
2011~2016년 코스피 별명이 '박스피'였음.그때 삼성전자 주가가 거의 5년 내리 횡보했음.그때 벌어진 일이 시총이 크지 않은 섹터가 많이 오름.관광, 카지노, 면세점, 화장품 등.오리온 이런 식품주는 10배씩 오르고 건자재도 엄청 오름.한샘이라는 주식은 37배가 오름.공통점은 시총이 낮아서 코스피 지수에는 영향이 없었음.2015년에는 바이오가 유행(신약 개발 꿈).어차피 삼성전자 안 오르니 할 것도 없어서 대박을 노린 것.그리고 이때 부동산 급등기(자금이 쏠림).팬데믹 때 동학개미 운동이 불었다가 완패.다시 부동산이 오르니 자금이 몰림. 지금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만 좋아지고나머지 다 가난해져서 미국으로 쏠리는 것.
2025.02.12 -
[슈카월드] 일본 기업에 투자한 해외 투자자들이 보통 가장 원하는 것?
다른 일본 기업들처럼 부동산 부자인 후지 미디어.도쿄 오테마치 금융 지구에 위치한 오피스 타워를 비롯한부동산 자산과 여러 일본 상장기업의 주식을 보유.미디어와 부동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영업이익 절반이 부동산에서 나옴. 일본 기업에 투자한 해외 투자자들이 보통 가장 원하는 것? 부동산 매각.(해외 활동주의 자본이 지분을 사들이고 요구)수많은 해외 펀드가 일본 기업을 인수하자마자 하는 행동.2023년 6,700억 엔에 히타치 운송을 사들인 KKR은 히타치 운송의 창고는 2,000억 엔에 매각.2020년 쇼와 비행기 공업을 900억엔에 인수한 베인 캐피털은 1,300억 엔에 사측의 골프장 리조트 매각. 1. 자원 효율적 배분 2. 단기 주가 부양 3. 엑싯.(일본 기업들은 역사적으로 현금이나 부동산을 높..
2025.02.12 -
[당신이몰랐던이야기] 대한민국 부와 성공의 상징 : 강남 (발전의 역사)
대한민국 '부'와 '성공'의 상징 : 강남.(사치스럽고 화려한 이미지)가장 부유한 동네는 사실. > - KT ESTATE.서초구/강남구(7,200만 원) > 용산구/송파구(5,400만 원) > 성동구/마포구/광진구/양천구 >영등포구/강동구/동작구/중구/종로구 >... > 노원구/구로구/중랑구/금천구/장북구/도봉구.(사울 아파트 3.3제곱미터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500만 원) 강남 입성 = 단순 주거지 이상의 상징적 가치.(= 높은 기준 만족, 계급) 강남 개발 이전에는 강북(종로구, 중구, 성북구 일대)이 부촌.조선시대부터 왕실과 양반 계층이 거주하던 한양 도성 주변(번화가). 한강 이남은 논밭, 과수원이었음.지리적으로 한강에 막혀있고 물리적/심리적으로도 외딴 땅에 불과.박정희 정부 시기에 '국가..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