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13623)
-
[제미나이]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3가지 핵심 요소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3가지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데이터 (Data):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패턴을 인식합니다. 따라서 양질의 데이터는 AI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수집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AI가 처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가 포함됩니다.알고리즘 (Algorithm): 알고리즘은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알고리즘이 존재하며, 각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 해결에 더 적합합니다.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분류, 의사 결정 등을 수행하며, AI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컴퓨팅 파워 (Computing Power): AI 모델은 복잡한 계산을..
2025.02.13 -
[부읽남] '국민 절반의 직업이 위험하다' 한국은행의 섬뜩한 경고
국민 절반의 직업이 위험하다!'AI 때문에 의대 이젠 소용없다?''어차피 이젠 직장 얻기 글렀다?' 인간 대비 AI의 성능 :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수학, 언어, 이미지, 음성, 필기체 인식 등) AI 발전은 한국에 '기회'인가 '위기'인가? 고령화 사회 걱정의 이유 : 일손이 모자란다 + 세수가 부족해진다!(AI나 로봇의 발달로사람 없이 생산성 향상 가능) > - 샘 알트만 -AI가 혁신적으로 생산성을 높일 것!임계점 돌파 시 생산성 향상 + 생산단가 하락. 국민의 50%가 AI 대체 가능 직업군에 종사.(노출도, 보완도)AI 보완도/노출도, 대체 위험, 고소득, 대체 어려운 고소득 직업군.(소득(수익성)이 낮으면 대체되기가 어려움, 사람의 책임이 필요하거나 노동직약적 직업군)ex) 의사, 금..
2025.02.12 -
[박병찬] 집값 대폭락 vs 대폭등 (내집마련 포기하신 분! 필수 시청!)
집값이 2022년도에 고점을 찍고 금리 인상에 맞물려 곤두박질침.대부분 2022년도말이나 2023년도초에 다박을 찍음.바닥 시기~현재 시기.전세가율, 갭금액을 비교해야함.저점 시기 대비 전세가율이 올라있다? 갭금액은 내려가있다? = 저평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지역별, 급지별, 가격 수준별로 편차가 존재함.1. 시세를 회복하고 급반등 물건.2. 예전 시세만큼 회복하지는 못한 물건.3. 저점 후 회복하지 못하는 물건.하급지 부동산들이 하반기로 가면서 하락기가 멈추면서 바닥를 다지게 될 것.'바닥'을 확인한 후에는 '반등'이 나옴.고평가 부동산은 일단 지켜봐야함.
2025.02.12 -
[슈카월드]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와 '가상 자산'의 도전을 받고 있다?
제도 개편 이유.우리 주식시장은 상장기업수, 시가총액 등양적인 규모는 계속 확대되어으나 개별 상장기업의기업가치, 성장성 등 질적인 측면(주가)의 발전은 미흡. 자본시장의 밸류업이 필요! 매년 약 100여 개의 기업이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됨.(우리나라 경제 규모를 보면 압도적인 숫자)= 주식시장에 미친 나라. 최근 5년간 주요 국가 상장회사 증가율.(미국의 5배, 일본/대만의 2배 = 화끈한 양적 성장) 최근 5년간 주요 국가 시가총액 및 주가지수 상승률.(대한민국 4%, 시가총액 상승률의 1/10) 우리 IPO 시장은 단기차익 목적 투자가 주를 이룬다!기관투자자도 배정받은 공모주를 상장 직후에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상장함녀 끝이라고 생각하는 황당한 시장) 단기차익 목적의 상장이 되다 보니 수요..
2025.02.12 -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1. 전세 제도(+전세자금대출).글로벌하게 거의 유일하게 채택되고 있는 전세 제도.전세 제도로 인해서 하방 경직성을 강화시키고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가 됨.ex) 매매가가 정체되었을 때 전세가가 오르는데(사람들은 가격이 오르지 않으니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문제는 전세가 상승이 지속되면 어느 순간 매매가를 올려버림(갭투자, 전세 거주자의 매수 등)주거 사다리를 걷어찬다는 여론 때문에 과거 금융분야의 자리가 잡혀있지 않을 때제도인 전세 제도를 단번에 없애지 못함(시장 논리(월세 선호 > 전세 선호)대로 서서히 없애게 만들 수 있을 뿐) 2. 선분양 제도(+주거 정책의 정치화).부동산은 가격이 오르나 내리나 꾸준히 일정 부분 공급을 해줘야 하는데 선분양 제도가 존재..
2025.02.12 -
[부읽남] 미국 주식으로만 돈이 몰리는 이유
2011~2016년 코스피 별명이 '박스피'였음.그때 삼성전자 주가가 거의 5년 내리 횡보했음.그때 벌어진 일이 시총이 크지 않은 섹터가 많이 오름.관광, 카지노, 면세점, 화장품 등.오리온 이런 식품주는 10배씩 오르고 건자재도 엄청 오름.한샘이라는 주식은 37배가 오름.공통점은 시총이 낮아서 코스피 지수에는 영향이 없었음.2015년에는 바이오가 유행(신약 개발 꿈).어차피 삼성전자 안 오르니 할 것도 없어서 대박을 노린 것.그리고 이때 부동산 급등기(자금이 쏠림).팬데믹 때 동학개미 운동이 불었다가 완패.다시 부동산이 오르니 자금이 몰림. 지금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만 좋아지고나머지 다 가난해져서 미국으로 쏠리는 것.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