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6)
-
[최준철 VIP 자산운용 대표] (주식) 투자 철학
1. 사람들은 이전 사이클에 퍼포먼스가 좋았던 주식이 더 오를 것이라고 착각한다. 2. 투자는 기대감이 반영되지 않는 곳부터 상승한다. 3. 주식 시장은 좋은 점을 반영하면 쉬는 시간이 나오거나 주가 퍼포먼스가 나오지 않는 지루한 구간이 나오는데 그때 팔면 또 오를 때 가지고 있지 않게 된다. 4. 대표 주식이니까, 망하지 않을 거니까라는 투자 접근보다 정교해야 한다. 5. 주식 투자에서 기회비용을 초래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6. 주식 투자를 안 하다가 주변에서 벌었다는 소리로 질투심에 참여하고 샀는데 빠지면 의구심이 생기고 '이제라도 팔까?' 주저함이 생기고 이거 왜 샀지? 자괴감이 밀려오고 '생존 전략'으로 기대감으로 무장된 자기 합리화를 하게 되고 '망하기나 하겠어?' 체념 단계로 돌입하게 ..
2022.04.27 -
부동산 투자 : 공급 시그널로 매수세 완화? 임대가 상승하면 부질없다
부동산 매수심리를 억제하는 방법은 막대한 '공급'이 나온다는 '시그널'을 주는 것이다. 사람들은 청약 대기를 하는 등 새로운 집이 풍부해져 선택권이 많아질 것을 대하고 매수를 당분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선택권을 기다릴 수 없는 상횡온다면? 바로 집은 '필수재'라는 성격 때문에 가능하다. 임대가가 오르면 어쩔 수 없이 기다리지 못한다. 사람들은 감정의 동물이기 때문이다. 임대가가 오르면 차라리 매수를 해버리자고 매수 수요로 이전이 된다. 그리고 임대가 상승으로 인해 매매가가 상승하여 더욱더 기다리지 못하고 모멘텀에 겁을 먹는다. 그럼 정부에서는 '공급' 시그널에는 임대가 '안정'이 최우선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다주택자 규제, 거래 자체 금지책 등 '임대 가능 물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형국..
2022.04.27 -
부동산 투자시 '전세가율'의 의미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이다. 그렇다면 '전세가율 하락'은 어떤 것 의미할까? 1. 실거주 가치보다 투자 가치가 높아졌다.(거품 가능성) 2. 투자자의 진입 장벽이 높아졌다.(갭 투자 가격 상승) 3. 매매를 원하는 사람이 전세를 한번 더 살고자 할 수 있다. 4. 전세를 사는 사람이 매매로 선뜻 돌아서지 못한다. '전세가율 상승'은 간단히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이렇듯 부동산 투자 시 실수요, 투자수요, 임대수요 등을 유기적으로 살펴보고 투자 아이디어를 도출해야 한다.
2022.04.27 -
투자시 지표 볼 때 유의해야할 점 : '현상'이 아니라 '본질'
투자 시 지표는 투자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의사결정의 기초 자료로 쓰인다. 그렇다면 지표를 제대로 보아야 좋은 결정을 할 수 있다. '지표'는 있는 그대로 보지 말고 '본질'을 봐야 한다.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자체의 역사적 평균과 대체 자산과의 비교. - 주택구입 부담지수는 각 지역의 역사적 평균을 봐야 한다. - 전세가율은 그 자체 역사적 흐름과 대체 지역과의 비교를 해야 한다. 과연 절대 수치가 의미 있는 수치인가. - 주택메수심리는 115 이상이 의미 있는 수치이다. - 아파트 주간 상승률 소수점 둘째 자리는 의미가 없다.(보합세) 변동률이 오르내린 것인가 절대가가 오르내린 것인가. - 변동률이 하락한 것이지 하락 전환된 것이 아니다. 어떤 지표에 대해 반대 포션을 생각해보기. - 하락 거..
2022.04.27 -
주식, 비트코인의 가격 하락은 '부동산' 투자에 좋다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투자 종목은 크게 3가지다. 주식, 비트코인 그리고 부동산이다. 주식과 비트코인은 성격이 유사하다. 변동성이 크고 진입장벽이 낮고 유동성과 금리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부동산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투자 자금이 커서 진입 장벽이 높다고 인식된다. (오히려 레버리지를 잘 일으킬 수 있어 장벽이 낮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필수재라는 성격 탓에 유동성과 금리의 영향을 덜 받는다. 투자 종목들에서 유통되는 초돈의 총량은 감소할까? 절대 감소하지 않는다. 정부에서 돈을 엄청나게 빨아들여 소각하지 않는 한 말이다. 직간접적으로 돈은 풀리게 되어있다. 다만, 바보의 주머니에서 고수의 주머니로 갈 뿐이다. 그렇다면 주식, 비트코인의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그 '돈'이 어디론가 흘..
2022.04.27 -
부동산 투자의 힌트 : 당신은 산 그 단지가 아직도 좋다고 생각하나요?
부동산 투자자가 자신보다 투자에 대해서는 식견이 높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것을 인정하지 못하면 출발이 힘들다. 누구나 한 번에 고수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번에 고수가 될 수 있다면 '고수'라는 단어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초보'인 우리는 '고수'에게 물어봐야 한다. 그런데 주변에 다주택자로 대변되는 고수들이 없다면? 그렇다면 최근 '신고가'를 경신하고 매도 물량이 없는 단지를 찾아라. 그러면 투자자에게 아래와 같이 묻는 것과 같다. '당신은 산 그 단지가 아직도 좋다고 생각하나요?' 투자자는 당연히 애초에 수익이 좋을 것이어서 매수했을 것이고 매도 물량이 없다는 뜻은 아직도 수익이 좋을 것이라는 뜻이다. '돈만 있으면 추가 매수를 한다는 말이 매도하지 않는다'와 같다. 결국 직접적으로 묻..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