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6)
-
부동산 투자 블로그를 쓰는 이유(지지 않는 투자)
블로그를 쓰는 이유는 다양하다. 기록하기 위해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자신을 알리기 위해서? 그중에서 '부동산 투자' 블로그를 쓰는 이유는 부동산 투자자에게는 지지 않는 투자와 같다.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투자 인사이트를 기록하고 정리며 다듬으면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익이 '0'이 되어도 상관없다. 부동산 투자 인사이트는 계속 늘어가니까 말이다. 대신 대박이 나서 수익이 '무한대'가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기에 지지 않는 블로그 글 쓰기인 셈이다.
2022.04.30 -
아파트 투자, 공부만 하면 '독과점'할 수 있다
사람들이 할 수 있는 투자는 주식, 비트코인, 부동산(아파트, 구분상가, 빌딩, 토지 등)이 있다. 하지만 만약 내가 일정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독과점'할 수 있다면? 즉,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시장에서 내가 우위를 점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다. 자본주의은 냉정하게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식일까? 비트코인, 주식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만 우위를 점하기는 어렵다. 이미 월스트리트를 위시한 자본적으로 인사이트적으로 뛰어난 기관이나 펀드매니저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 부동산 중에서 상가와 토지는? 아직 전문가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 영역에 도달할 수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고 전문가와 전문가들로 경쟁을 해야한다. 그럼 아파트 투..
2022.04.30 -
미래에는 지능지수가 중요할까?(인간다움)
미래에는 과연 지능지수(IQ)가 중요할까? 누구보다 빨리 문서를 처리하고 수학 연산을 잘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만약 인간을 뛰어넘고 감정도 없고 잠도 안 자는데 지능지수가 더 높은 존재가 나타난다면? 바로 '인공지능(AI)'이다. 인공지능이 점점 확산될 것은 명약관화이다. 그렇다면 지능지수가 더 이상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에 방점을 두어야 할까? 바로 인공지능이 못하는 '인간다움'이다. 바로 '휴머니즘'이라는 것이다. 지능 지수보단 감성 지수(EQ)가 더 중요한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공감을 해주고 상대성을 인정하고 심리적인 안정을 줄 수 있는 그런 '능력'을 키워야 한다. 제아무리 지능 지수를 높다더라도 '인공지능'..
2022.04.30 -
우리나라 부동산 투자시 '뉴스'가 중요한 이유(부동산의 정치화)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 경기에 따라 정책을 만들고 정책이 다시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끼쳐왔다. (1960년 후반부터 관련 정책이 나왔으니 말이다.) 그렇게 정부는 민생과 직결된 '부동산' 그리고 경제 효과를 단번에 누릴 수 있는 '건설'로 관련 경기가 과열되거나 침체되면 안정화를 유도하면서 방향성을 설정해왔다. 이렇듯 부동산의 정치화는 '표'를 의식하고 '여론'의 방향성을 눈여겨본다는 말로 귀결되는데 그에 맞게 투자자는 '부동산 뉴스'를 눈여겨봐야 한다. 관련 내용도 내용이지만 여론이 담겨있는 뉴스가 또다시 여론을 재창출하기 때문이다. 각종 부동산 뉴스에서 떠들썩하게 과열된다는 우려를 표하면 정부는 그에 맞게 스탠스를 조절한다.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게 긴 '방향성'을 토대로 투자 아이디어를 도출해..
2022.04.29 -
투자의 기본 : '싸게 사고 비싸게 파는 것'의 고찰
'싸게 사고 비싸게 파는 것'은 무엇일까? 1. 가치 대비 싼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2. 그렇다면 싼 것을 살 수 있는 '용기(경험 축적)'와 '자본 조달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싼 것이 비싸게 될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4. 비싼 시점을 캐치하여 팔 수 있는 '결단력'이 있어야한다. 5. 싼 것이 바 싸게 되기까지의 그 기간을 '믿음(경험 축적)'으로 견뎌야 한다. 매우 간단하다. 필요한 것은 지식과 경험, 지혜로 비롯된 '인사이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꾸준히 노력하여야 한다. 누구나 처음부터 '인사이트'가 쌓이지 않기 때문이다.
2022.04.28 -
부동산 투자 공부 절대 늦은 것이 아닌 이유
부동산 투자 시 이미 절대 가격이 높고 배움이 늦었다고 판단이 들 때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 1. 과연 이제 부동산은 먹을 것이 없는가? - 영원하지 않은 상승이라면 반드시 하락이 있다. 역사적으로 보아도 사이클은 존재해왔기 때문에 다시 투자하기 좋은 시기가 도래한다, 언젠진 몰라도 말이다. 그 시기가 언젠지 모르기 때문에 미리 공뷰 해야 한다. 2. 배움이 늦었다면 것의 기준은 무엇일까? - 당장 내일 죽을 것이라도 투자를 해놓아야 자식에게 금전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물려줄 수 있다. - 당장 내일 죽을 것이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공부하면 수익을 남길 수 있다, 몇 퍼센트라도 수익을 남길 수 있다면 엄청 바쁘지 않은 이상 공부를 해놓는 것이 좋다. 늦었다는 것은 귀찮고 하고 싶지 않다는 합리화에 불과하다...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