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6)
-
부동산 투자, 영원한 하락만 있을 것이다? (과거 '빚내서 집 사라!' 했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취임식(2014년 7월 16일) '겨시정책을 과감하게 확장적으로 운영을 하고 한겨울에 한여름의 옷을 입고 있는 것과 같은 부동산 시장의 낡은 규제들을 조속히 혁파해야 합니다.' '빚내서 집사라!'라는 정책 기조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주택담보대출'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관건. 2.5%(2013년 5월) > 2.25% > 2% > 1.75 % > 1.5% > 1.25%(2016년 6월). 위 유튜브의 뉴스를 보면 답이 나옴. 과거 5년간 겹겹이 누적된 규제를 지금 풀고 있음. 하지만 간 보기 식으로 규제를 완화하니 제대로 주택 매수에 엄두가 나지도 않고 규제를 완화하더라도 거시 경제 즉, 금리가 높아서 엄두를 못 내고 있음. 여기서 시험을 풀 때 ..
2023.01.15 -
부동산 투자, 깃발을 먼저 꽂아라! (빨리 시드를 모으고 공부하자!)
부동산 '투자할까? 말까?' 망설이고 계신가요? 부동산은 오르내리고 사이클이 있음. 사이클이 있다는 말은 '팔 기회'와 '살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임. 너무 많이 올랐을 때는 팔고 너무 많이 내렸을 때는 사고. 하지만 이것은 잔물결에 불과하고 우리는 큰 물결을 읽어야 함. 그럼 큰 물결은 무엇일까? 바로 우리나라는 '선진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 그리고 '선진화 = 양극화'라는 것. 그럼 선진국을 위시하는 '미국'을 예로 들어보면 됨.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실리콘 밸리에서 연봉을 수억을 받아도 50%는 주거비로 나가버림. 왜냐하면 집값이 어마무시해서 살 수는 없는데 임대하고자 하는 수요는 엄청 많기 때문임. 여기서 우리는 '힌트'를 얻을 수 있음. 결국 양질의 일자리 등 누구나 선호하는 '입지'의 아..
2023.01.15 -
부동산 투자, 투자를 하려는 사람에게 '하락장'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사람들은 부동산을 구입하고 계속 주야장천 오르길 바람. 그런데 잘 생각해보자. 돈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대부분 '강남'에 살고 싶어 할 것임. 결국 그 말은 즉슨 부동산 투자를 하는 이유도 '강남'에 살고 싶어 한다는 것임. 당장 돈이 없어서 단계를 밟고 있을 뿐임. 그런데 만약 '상승장'만 있다면? 상승장에서는 선호 지역이 먼저 오르고 그 뒤로 그 격차를 좁혀가며 후순위 선호지역이 오름. 이 말은 즉슨 상승장만 있다면 절대 우리는 '강남'을 사지 못함. 그리고 처음부터 '강남'에 살 수 있는 사람은 상위 0.00001% 채 안됨. 반대로 생각해 보면 '하락장'은 올라탈 '사다리'라는 것임. 누군가의 위기를 잘 잡아서 나의 기회로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돈'이 근본인 '자본주의'의 숙명인 ..
2023.01.14 -
부동산 투자, 인구가 줄어드는데 가격이 오를까 걱정되시나요?
'주변 사람들을 보면 '인구'가 줄어드는데 부동산 가격이 오를까?' 라고 걱정들을 함. '이것은 마치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서울대가 미달 날까?' 를 고민하는 것과 같음. 즉, 고민하는 시기가 너무 빠르고 결과적으로 고민할 필요도 없다는 것임. 부동산 투자는 결국 '입지'가 좋은 곳으로 가기 위함이고 그 돈이 대부분 처음에는 없기 때문에 입주 물량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을 노리거나 시장 상승 사이클을 노려서 투자 수익을 얻고 그 수익을 누적시켜서 결국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가려고 함. 물론 인구가 줄어들면 비선호 지역(인구가 적은 지방 등)은 절대적인 수요가 사라져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순 있음. 하지만 지금 당장 고민할 필요도 없고 우리는 '입지' 좋은 아파트를 선점하기 위할 고민만 하면 됨. 결국 전 ..
2023.01.14 -
사업을 위험하다고 하지 않는 것은 말이 안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업을 하고 싶은 이유가 무엇일까? 생계를 하기 위해서는 '소득'이 필요한데 소득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다양함. 월급쟁이, 사업가, 자영업 등등. 대부분이 월급쟁이로 시키는 일을 하며 살지만 특정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버는 돈이 현저히 적음. 그래서 돈을 많이 벌고자 하는 사람은 사업을 생각해 봄. 그런데 생각하면서 '사업은 위험한데?'라고 생각하며 시작을 하지 않음. 하지만 '사업은 당연히 위험한 것임' 왜냐하면 위험하지 않으면 누구나 달려들어서 돈을 많이 돈 벌게 됨. 대다수 사람들이 월급쟁이이기 때문에(대체 가능) 월급이 사업가들에 비해서 현저히 적을 수밖에 없음. 그만큼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기도 함. 그렇기에 '사업은 위험하다!'는 당연한 말임. 그 당연한 전제를 하지 ..
2023.01.12 -
부동산 '하락기'에만 할 수 있는 투자 (갈아타기)
부동산 투자에는 사이클이 있음. '상승'과 '하락'. '상승'에는 입지가 좋고 남들이 누구나 선호하는 지역·상품(신축 등)이 많이 오름. 그래서 상대적으로 덜 떨어진 곳은 늦게 오름. 왜냐하면 먼저 선호하는 지역이 오르고 절대 가격이 비싸져서 수요가 못 받쳐주면 주변을 쳐다보기 때문임. 그래서 돈이 없는 사람들은 덜 떨어진 입지를 사게되고 결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쳐다볼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선호하는 입지는 상승장 때 가격도 가격이지만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로 '매물'로 나오지 않음, 그리고 매물이 적으니 더 오름. 하지만 하락기에는 말이 달라짐. 하락기에는 많이 상승한 것이 떨어지는 폭도 크게됨. * 지역별 공급 물량, 호재 등은 따로 판단. 그래서 제1입지와 그외 입지들의 차이가 적어짐. 그..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