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6)
-
전기차, 공용차, 자율주행차 시대가 도래하면 반드시 '투자'해야할 곳
전기차 시대. 공용차 시대. 자율 주행차 시대. 위 3가지 시대가 도래하면 어떤 것이 바뀔까? ㅇ 기존의 연료비 지출이 사라진다. ㅇ 일종의 사치품이던 차량이 사라진다. ㅇ 멋 부리 기용 카푸어가 사라진다. 위의 것들 등등등. 결국 '소비'의 큰 부분을 차지했던 부분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럼 이 소비는 증발하는 것일까? 어디론가 인간의 본능 즉, 남들보다 우월하고 싶은 본능을 실현할 수 있는 곳과 다른 필수재의 소비로 흘러들어 갈 것이다. 먼저 본능을 실현시키는 예로 명품이 있을 수 있다. 사치품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대신 자신을 명품으로 대변할 것이다. 연료비의 소멸로 각종 소비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되어 백화점, 대형마트 등으로 소비가 몰릴 것이다. 자동차 대신 부동산으로 자기를 과시할 것이다. 결국 '준..
2022.11.05 -
부동산 투자, 간단하다! 옷 사듯이 생각해라
상승 사이클과 하락 사이클에서 투자 방법은 다르지만 근본적인 투자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좋은 재질과 트렌디함을 갖춘 ㅇㅇ브랜드의 옷이 있는데 지금 세일을 해서 재질이 별로고 트렌디하지 못한 ㅁㅁ브랜드보다 가격이 더 싸게 형성되어 있다면? 살 것이다. 이것을 부동산 투자에 대입하면 된다. 이 지역이 인프라(학군, 편의성, 자연) 등을 보면 저 지역보다 '훨씬 우수한대 왜 이렇게 싸지?'라고 생각되면 사면된다. 결국 실수요가 보는 [매매 가격]과 가(투자) 수요가 보는 [매매-전세 = 갭]을 비교해서 저렴해 보이면 '상대적'으로 가격 접근해서 구입하면 된다. 그리고 원래 비싼 옷인데 아울렛 등에서 가..
2022.11.04 -
역발상 투자를 하자(부동산으로 시세차익, 주식으로 배당)
투자의 기본 원칙은 ’일반인들과 다르게‘이다. 일반인들은 그럼 투자를 어떻게 할까? 주식을 시세 차익으로 생각하고 대출을 해서 투자하거나 레버리지 상품을 이용한다. 반면 부동산은 빌딩 등 수익형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주식과 부동산 투자는 반대로 해야한다. 말 그대로 부동산을 갭 투자(전세 활용) 등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시세 차익으로 생각하고 주식을 배당주에 투자하여 따박따박 월세처럼 배당을 받아야한다. 주식 배당은 빌딩 월세와 다르게 상대적으로 공실 리스크와 세입자 갈등 리스크가 적다. 부동산 시세 차익형은 주식처럼 변동성이 크지 않고 매일 시세 현황판이 없고 매도가 클릭 한방으로 되지 않아 싸게 팔고 비싸게 사는 인간적 본능을 구조적으로 제어한다. 이처럼 일반인들과 다르게 상품 투자를 하는 것도 돈을 ..
2022.10.18 -
반도체 수급 문제로 차량 가격이 올라가는 것과 부동산 투자는 비슷하다
차량 반도체 수급 문제로 즉,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서 현재 중고차며 신차며 차량 가격이 치솟고 있다. 준필수재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기본 대기는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린다. 그렇다면 여기서 차량을 가지는 것이 좋을까? 아닌 것이 좋을까? 물론 차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차량을 가지고 있기만 해도 자신의 차량도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다른 차량의 가격 상승분만큼 손해를 보지 않는다. 그럼 상승기에 부동산 투자는 어떨까? 부동산은 의식 '주', 필수재이고 사이클이 훨씬 길다. 사업이 망하고 투자가 망해도 차보다 집을 먼저 팔지 않을 테니 말이다. 그럼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다른 부동산이 가격이 상승해도 안정감이 있다. 그렇다면 하락기에는 어떨까? 이미 상승기에 수익분을 먹고 여러 개의 포지션을 가졌고 지..
2022.10.12 -
성공 DNA : 남들이 하지 못하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성공합니다
성공을 하면 '성공 DNA'라는 말이 생긴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성공 DNA라는 것은 남들이 가지지 못한 DNA라는 말이 내포되어있다, 성공이라는 것이 소수에게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럼 성공을 하는 것이 무엇인가? '성공 경험 누적한다.'는 것이다. 경험의 총체가 '자신'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업이나 투자로 연봉 1억이나 수익 10억 단위를 벌어보았다든지 남들이 범접하기 어려운 경험이다. 이러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을 토대로 더욱더 큰 경험을 추구하는 과정이 '성공'이라고 본다. 반대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하는 경험 예를 들어 집 앞 산책하기, 일용 노동해보기 등 마음만 먹으면 진입 장벽이 낮아서 하는 경험들은 성공의 경험이 아니다. 최고 대전제는 '성공은 소수에게 주어지는 것'과 '..
2022.10.05 -
부동산 투자, 하락장 초기에서는 가만히 있는 것도 투자이다
부동산 투자는 사이클이 존재한다. 크게 '상승기(초기/말기)'와 '하락기(초기/말기)'이다. 상승기 초기에는 투자 여부에 따라 수익이 발생하고 이리저리 많은 것들 투자하고 갈아타고 개수와 매매 횟수를 늘림으로써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럼 반대로 상승장 끝자락, 하락장 초기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하게 상승장과 반대로 하면 된다. 기존의 상승장에서 유지했던 부동산을 유지하는 것도 방법이다. 하락장 초기는 반드시 상승장 뒤에 오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에 불리한 각종 규제가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그러므로 기다렸다가 부동산 투자하기에 좋은 환경이 형성되는 하락장에서 상승장 초기로 가는 시점에 투자를 해도 결과적인 수익은 높을 것이다.
202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