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189)
-
[리 루] 오너의 마인드를 가져라
가치 투자자를 구별해주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기업 오너 마인드를 가져야 하고 보는 시계열이 남달라야하고 안전마진을 크게 요구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단 하나로부터 나옵니다. '내가 스스로 신중한 오너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경영의 결과까지 컨트롤할 수 없으므로 사실상 '자기 방어적인 안전마진'을 '보상'으로 요구하는 것입니다. 기업 오너라고 생각하기에 장기적으로 보게 될 것이고 이 모든 것이 같은 이야기입니다. '기업 오너라고 생각하면 왜 그렇게들 주식시장에 매달리는 겁니까?'라고 물으신다면 주식시장은 기업 오너들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닙니다. 트레이드를 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곳입니다. 그래서 95%의 사람들은 제 말을 절대 믿지 않을 것입니다. 생각해보세요. 만약 모든 사람이 인간 본성 ..
2021.12.04 -
[스티븐 슈워츠먼] 절대 잃지마라
전 1달러도 잃고 싶지 않습니다. 그 사람의 살아온 배경을 보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죠. 제가 자랐던 환경은 돈을 쓰고 싶으면 일을 해야 했습니다. 잔디를 깎는다든지 눈을 치운다든지 등등 동생들에게 대신 일하게 하고 수입의 반을 준 적도 있는데 한 몇 년은 그게 가능하였습니다. 나중에 걔들이 자기들도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전까지는요. 전 항상 뭔가를 하였습니다. 문구류도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판다든지요. 이것저것 다 해보았습니다. 그런 일들을 하게 되면 돈을 잃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돈을 잃으면 그런 일을 계속 더 해야 하니까요. 모르는 사람의 집에 노크한다는 것은 정말 큰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거든요. 정말 성공하고 싶어서 그런 일을 하는 것뿐입니다. 전 퇴..
2021.12.04 -
[조엘 그린블란트] 실수를 두려워하지 마라
여태까지 본 것 중 최고의 투자 기회를 발견했는데 그 기업이 좋았던 이유는 훌륭한 사업이 있는 데다가 현금 가치의 반값에 팔리고 있었습니다. 저는 보통 포지션 비중을 조절할 때 딱히 신경 쓸 것이 많지 않습니다. 저의 가장 큰 포지션은 가장 많은 수익을 낼 것 같은 종목들이 아니라 돈을 잃지 않을 것 같은 종목들에 포진되어 있거든요. 큰 리스트를 지지 않고도 많은 양을 매수할 수 있는 그런 것들로요. 거기에 업사이드 포텐셜까지 있으면 금상첨화겠지요. 그런데 사람들이 잘 파악하기 힘든 복잡한 자본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파악만 가능하다면 무조건 담을 종목이었습니다. 당연히 저는 많은 양을 매수했고 정말 스마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다른 누군가가 이 복잡다단한 영광의 기회를 알아차린 거예요..
2021.12.04 -
[조엘 그린블란트] 가치투자의 정의
제가 내리는 가치투자의 정의는 가치가 얼마나 되나 보고 그보다 훨씬 낮은 가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저 PBR, 저 PSR과 무관합니다. 버핏이 말하기를 '성장과 가치는 늘 붙어 다니기 때문에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 중 하나가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그 둘이 다르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벤 그레이엄이 말했죠. "가치를 알고 그보다 훨씬 싸게 지불하면 그 둘 간에 큰 안전마진을 제공해준다." 버핏은 여기에 한 가지 변화를 줌으로써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1명이 되었죠. 쉽게 말해 좋은 기업을 싸게 사면 더할 나위 없다는 논리입니다. 기업이 좋은 점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할 수 있다는 거잖아요? 저도 천천히 그쪽으로 방향을 틀었죠. 그렇게 빠르게 변하지는..
2021.12.04 -
[조엘 그린블란트] 투자를 행함에 있어 굳이 똑똑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는 '합병 차익거래'라고도 불렸던 '리스크 아비트라지'를 하는 회사에 취직하였습니다. 어떤 회사의 합병 발표가 뜨면 그게 최종 성사되기를 기대하며 그 회사를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쪽 투자의 위험 보상은 일반적으로 합병이 성사될 경우 1달러는 번다고 치면 결렬되면 10~15달러는 잃는 구조입니다. 이런 위험-보상 체계는 저에게 딱히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기존의 합병 투자 방식을 떠나서 무언가 흥미로운 합병 건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자본재조정이나 분할 등 회사 내에 특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케이스를 찾아보았죠. 뭐가 되었든 '1달러를 벌고 10~15달러는 잃는'것만 벗어날 수 있다면 그런 케이스들은 다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벤저민 그레이엄의 책을 보게 되었고 이해가 되었습니다. ..
2021.12.04 -
[칼 아이칸] 행동주의 투자자는 모두 다 같지 않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모두 다 같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여러 유형의 스타일이 있고 다년간 제가 바라본 관점은 제가 여기 나온 이유 중 하나는 '사람들이 전부 단기 이슈만 찾는데 회장님은 주식들을 엄청 오래 보유하셨으니까 여기 한번 나와서 말씀해주세요.' 이 말을 듣고 제가 보통 이런 것은 안 하는데 리스트를 한 번 뽑아왔습니다. 제 자신도 놀랐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오래 가지고 있었는지를요. 어떤 기업은 31년이나 보유하였습니다. 많은 행동주의 펀드들은 단기지향적이지 않습니다. 모두가 다 그렇다고 말할 순 없습니다. 저의 좋은 성과 대부분은 7~9년 보유하면서 나왔습니다. 아무도 원치 않을 때 매수해야합니다. 그것이 바로 비결입니다. 말은 쉽지만 그렇게 하지 정말 힘듭니다. 사람들이 다 싫어할 때 사는 ..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