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13268)
-
투자의 관점에서 ‘대중’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읽어라
언론은 과연 대중에게 '정보전달'의 순기능만 제공할까? 자본주의 관점에서 보면 언론의 수익을 위한 이기심이 '정보전달'이라는 이타심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공공기관이 아닌 수익을 극대화해야 하는 '민간 기업'이라는 것이다. 수익을 창출해야 사업을 영위할 수가 있다. 만약 그런 구조에서 자신에게 광고비를 더 주고, 자신의 언론사에게 유리한 정책을 마련해주는 정치가가 있다면 '정보 전달'이라는 가면을 씌우고 우리의 사고에 이식하는 것은 아닐까? 결국, 누군가의 이해관계로 인하여 기사가 쓰여지고 우리가 읽게 되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서 자극적으로 헤드라인을 단 것은 아닐까? 언론은 곧이 곧대로 믿으면 안 된다. 정확한 분석과 기자의 성향, 이 기사가 어떻게 나왔는지..
2021.06.27 -
자기실현적 예언(사람은 제복대로 간다)
부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무엇인지 아는가? 바로 '부자가 되고자하는 마음가짐'이다. 부자가 되고 싶어야 부자가 될 수 있다. 어떤 직업을 갖고 싶어야 그 직업을 가질 일말의 가능성이 생긴다. 그것을 원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거짓이라도 부자가 한 번 되어 보는 것이다. 모조품이라도 롤렉스를 사고 자기실현적 예언으로 '나는 부자가 될 수 있다.' 하며부자처럼 행동해보아라. 그러면 피그말리온의 조각처럼 스스로가 그 부자의 길을 사실화하기 위해서 더욱더 조각처럼 정교하게 노력할 것이고, 그 노력이 빛을 발하면서 주변에서도 자신을 받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결국 '진짜' 롤렉스를 몇 년 뒤에 차고 다니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며, 과거와 마음..
2021.06.25 -
자본주의와 양극화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양극화란 동전의 양면과 같다. 그 방증으로 모두가 잘 사는 것을 유토피아로 정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은 모두가 '하향 평준화'로 가는 길이다. 공산주의로 균등하게 배분된 피자 한 조각보다 자본주의에서 제일 작은 조각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그럼 자본주의와 양극화는 필연의 관계라는 것을 인정하고 시작하자. 빈익빈 부익부는 반드시 잉태되며, 그 기준은 모호하다. 멋진 신세계라는 소설에서 나오는 것처럼 빈자는 빈자 나름대로 만족을 하며 살 수 도 있고, 부자는 부자 나름대로 불만족하며 살 수도 있다. 이것을 정부가 개입해서 억지로 절대적 기준에 모두가 수렴하게 만들 필요도 없을뿐더러 그렇게 해서는 사회가 발전되지 않는다. 서울대가 ..
2021.06.25 -
개인의 이기심이 가장 이타적이다
1776년은 자본주의의 서막을 알리는 중요한 연도이다. 바로 미국의 독립 선언과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번역제)의 출간이다. 애덤 스미스를 위시하여 자유 경제의 한 획을 긋는 데이비드 리카르도 같은 경제학자가 나왔다. 이들이 주장하는 건 '보이지 않는 손' 즉, '자유시장경제'이다. '인간은 수익을 좇기 때문에 가만히 놔두어도 시장은 알아서 굴러간다는 것이다.' 바로 '개인의 이기심이 가장 이타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삼시 세끼 먹는 밥은 농부가 우리를 위해서 땀을 흘린 것이 아니다. 곡물을 판 돈으로 농부 자신의 가족을 지키고 사회에 공헌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즉, 결과적으로 이타적인 것이 되지만 이기심에서 발현된다는 것이다. 그렇다. 투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주택자들의 '이기..
2021.06.25 -
부동산 ‘세금’부터 공부해라
부동산 투자 시 사람들이 제일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가? 바로 하락기를 맞이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수익이 발생했을 때의 '세금'적인 부분이다. 현 정부의 세금 기조 및 과거 부동산 세금정책을 보더라도 타 자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수익이 떨어질 것을 걱정하여 투자를 꺼려한다. 그런데 왜 부동산에서 부자들이 많이 탄생하였을까? '세금'이 많아서 '수익'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면 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할까?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다는 전제로 시작하면 세금은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여길 수 있다. 그럼에도 객관적 수치의 세금은 높디높다. 그럼 혹시 세금의 틈새를 공략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일까? 이렇게 순차적으로 현명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반드시 있기 마련이다..
2021.06.25 -
부동산 투자에서 ‘토지’ 공부는 필요한 것일까?
토지는 부동산의 근원이다. 아파트, 빌라를 비롯한 주택과 상가, 꼬마빌딩을 비롯한 비주택도 땅의 가치에서 비롯된다. 강남 중심지의 건축비와 오지의 건축비는 물류비용을 제외하면 거의 대동소이하다. 그러므로 주택을 매수하든 비주택을 매수하든 '토지'를 공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마치 우리가 초, 중, 고 기본 학습을 다지고 대학교 전공 수업을 배우는 것과 결이 같다. 하지만 '토지'의 직접적인 투자는 매우 위험하다. 어마 무시한 공부 절대량이 필요하고, 토지를 보는 안목과 자본 규모도 커야 하기 때문이다. 자본 규모가 커야하기 때문에 고수들이 많기도 하다. 주택은 필수재의 속성이 커서 거래가 잦다. 즉, '환금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주위에서 '토지'는 묵혀두면 가격은 오른다고들 한다. 하지만..
202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