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12301)
-
[베르나르 아르노] 2,000년 초에 스티브 잡스를 만날 기회가 있었죠
2,000년 초에 스티브 잡스를 만날 기회가 있었죠. 대화 중 그는 장난으로 말하더군요. "그런데 말입니다." "저의 아이폰이 50년 후에도 먹힐지 모르겠지만." "단언 건태 사람들은 계속 돔 페리뇽을 마실 겁니다."
2022.02.23 -
[베르나르 아르노] 저희 기업은 테크 산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저희 기업은 테크 산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테크 기술이 저희 사업에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로 저희 회사 중 하나인 '세포라'를 볼게요. 미국에서 큰 온라인 마켓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미국 넘버원 화장품 판매 사이트죠. 저희는 항상 스타트업, 새 아이디어와 교류합니다. 또한 항상 최고를 선별합니다. 예로 오늘 총 800개의 스타트업들이 있어요. 저희는 일단 30개를 고르고 그 30개 중 하나 혹은 두 기업을 고를 겁니다. 내일 발표될 것입니다. 그것이 미래를 보장한다고 믿습니다.
2022.02.23 -
[베르나르 아르노] 성공은 제품의 질에서 나옵니다
한 단체의 성공은 제품의 질에서 나옵니다. 또한 제품의 질은 저희와 일하는 훌륭한 장인들의 결과물이죠. 젊은이들을 고용하기 위한 큰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인이 되고자 할 마음이 없던 아이들도 저희가 아이디어를 보여주고 교육을 시키면 거의 90%의 성공률을 보였죠. 또한 젊은이들이 자랑스러워하는 것이 저희에게도 보람찼었죠. 오랜 전통과 장인 정신을 받아들이고 동시에 세 세대의 문화도 받아들였죠. 저는 세상을 뒤흔들 생각을 합니다. 단지 상인이 아니라요.
2022.02.22 -
[척 아크레] 평균보다 수익률이 높은 기업을 어떻게 찾을까요?
평균보다 수익률이 높은 기업을 어떻게 찾을까요? 그런 기업들의 특징은 어떨까요? 어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평균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일까요? 즉, 저희는 높은 주가수익률을 보일만한 기업에 투자합니다. 그런 기업들에 집중하기 때문 투자가 용이하죠. 어떤 경위인지 잘 모르겠지만 제 사무실에 오래된 착유걸상이 있었습니다. 저희 아버지꼐서 물려주신 건데요. 그는 그의 사업 동업자에게 받았었고요. 의자는 가슴 정도 높이입니다. 의자 다리가 3개 있어요. 두 개의 다리는 앞 쪽에 놓여있고 세 번째 다리는 가운데에 위치했죠. 농부가 착유를 하는 동안 의자 뒤 자리를 잡고 착유하기 위해 앉으면서 뒤의 의자다리를 잡으려고 했을 겁니다. 오래전 수작업으로 착유하던 시절의 의자입니다. 어느 날 제가 그 의자를 보고 있자..
2022.02.22 -
[척 아크레] 저의 목표는 리스크를 낮게 가져가면서 자본을 복리로 굴리는 겁니다
저희는 저희 고객들이나 잠재 고객들에게 말씀드립니다. 저희 회사 목표는 '평균을 상회하는 속도로 자본을 복리 시키면서 리스크는 평균보다 낮게 가져가는 것입니다.' 평균보다 낮은 리스크란 무엇일까요? 저희가 투자하는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죠. 성장률이 평균보다 높고요. 투하자본 이익률이 더 높고요. 재무상태가 탄탄합니다. 그리고 자주 시장보다 낮은 밸류에이션에 거래되죠. 표면상으로는 투자하는 종목들의 리스크가 낮아 보입니다. 보이는 것이 그렇습니다. 변동성과 관련이 없죠. 왜냐하면 저희는 변동성이 단기 리스크의 척도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1년 내로 집을 사는 등 돈을 써야 할 일이 있으면 그 돈으로 주식을 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만약 5년이나 3년간 투자할 수 있으면 ..
2022.02.22 -
[하워드 막스] 단순히 밸류에이션 지표보다 미래 현금흐름을 파악해야합니다
단순히 PSR이 높다고 배제해서는 안됩니다. 고평가가 되었다고 의심은 됩니다만 투자 후보에서 바로 제거하면 안됩니다. 매출 성장률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 하고 미래에 매출이 얼마나 성장하는지 확인해야 하며 예를 들어 매출 성장률이 15%라면 매출이 10~20% 성장하는 회사들과 비교하면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10년 후에 매출이 어떻게 될지와 수익성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PSR을 보고 투자를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미래에 이익률이 어떻게 될지 감을 잡아야 합니다. 매출 전망치에 이익률을 곱해서 미래의 EBITDA와 현금흐름을 계산해보아야 합니다. 투자 비용의 성격을 따져봐서 미래의 현금흐름이 잉여현금흐름인지 추가로 투자가 필요한지 따져봐야 합니다. 현재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려고..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