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12375)
-
[어바웃뉴욕] 미국 한인마트에는 남아도는 김밥
식품점 체인인 '트레이더 조'.미국 전역에서 이어진 냉동 김밥(김밥 품절 행진이 이어지고 있음) 김밥 열풍을 만든 트레이더 조의 인기 비결은?'알디'와 '트레이더 조' 모두 '알브레이트'라는 한 가문이 소유. '매장에서 스토리를 팔겠다!'(재방문, 배송은 하지 않음)세계 각국의 특이한 제품들이 많음. 80% 정도가 '자체 상품'이라 가격이 저렴.(매장 규모는 작지만 평수당 매출을 1위)동종업계 대비 고객 만족도가 높음. 취급하는 품목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직원들도 친절하게 설명 가능.('선택'과 '집중')쇼핑 = 여행('발견'과 '즐거움').공급업체로부터 직접 대량 구매를 하고 조기 계약을 함. 스토리를 팔기 때문에 충성도가 높음.(트레이더 조의 상품 = 발견의 대상 = 바이럴 마케팅) 쿠폰, 할인혜택없..
2025.02.08 -
[어바웃 뉴욕] 위기에서 변화를 노리는 메이시스
미국 중산층의 상징이었던 메이시스 백화점.('고소득층'은 안 가고 '저소득층'은 갈 돈이 없음)1902년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뉴욕의 백화점.아직도 나무 에스컬레이터를 유지. 뉴욕시의 14번가와 6번가 모퉁이에 자신의 이름을 따서 고급잡화점을 오픈.초기 성공 배경 : 혁신.모든 고객들에게 똑같은 가격(+환불 보장)으로.(당시에는 흥정이 일반적)퍼레이드 등 백화점 이상의 문화를 만들어냄. 1980년대 경기 침체로 위기를 맞고 결국 파산 선언.1994년 페더레이티드가 인수.(인수를 거듭하면서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으로)이름을 '메이시스(연합 백화점)'로 바꿈. 인플레이션 시대에서 백화점의 경쟁력은 사라짐.(+온라인 쇼핑의 등장) '보유한 부동산 가치'는 85억 달러.백화점의 위기, 오프라인의 위기, 중산층의..
2025.02.08 -
[어바웃 뉴욕] 아마존, 홈디포와 차별화로 성공한 기업 트랙터 서플라이
농촌과 관련된 모든 것을 파는 '트랙터 서플라이'특히 트랙터가 인기 상품.소매업체를 넘어 농업 커뮤니티를 만들면서주가도 장기간 상승세를 기록해왔음. 가격에 민감하는 농부를 대상으로 하는 부품 사업을 구상.비용 낮추기 위해서 우편 주문을 통해 카탈로그 사업을 시작. 30년간 성장을 지속하던 중에 위기를 맞게 됨.시대적으로 2차세계대전 이후 농장의 통합, 제조업 성장으로 농촌 인구 감소.매장은 도시 가까운 곳으로 이동했고 트랙터라는 단어와 거리를 두기 시작.그리고 모든 것을 팔기 시작(제품 범위 확보).특정 고객을 타깃하지 못해서 방향을 잃고 매출은 곤두박질. 초심을 찾으면서 성장해서 나스닥에 상장.1,000번째 매장을 열고 10년이 지나서 2,000번째 매장을 열게됨.(외곽 지역에만 자리를 잡고 있음) 큰..
2025.02.08 -
[어바웃 뉴욕] 힘든 일을 대신하고 돈을 버는 신타스
기업의 유니폼 = 이미지(+소속감).세탁소에서 시작해서 최대 유니폼 대여 기업으로.포춘 500위 안으로 들어갈 정도로 성장.부유한 가문 순위 37위까지 오를 정도.최근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움. 1929년 단원이었던 할아버지가 서커스가 문을 닫자 제조업에서 기회를 찾음.공장에서 사용한 낡은 걸레를 세탁한 다음 공장에 다시 판매.할아버지의 사업을 물려받은 아버지는 기존의 비즈니스에서오늘날의 작업용 타월 제공으로 비즈니스 변경. 22살의 나이로 가업에 합류.딕 파머의 손에서 회사가 성장.딕 파머의 손에서 유니폼 대여로 확장.폴리에스터~코튼 혼방으로 만든 유니폼 제공(다리짐이 필요없는)새틀라이트 설립, 가족 기업과 합병하면서 '신타스' 창립.(+시설 관리 비즈니스로 확장) 유니폼 프로그램은 맞춤형으로 제공.(+..
2025.02.08 -
수익성 개선으로 부활한 중고차플랫폼 카바나
자판기에 동전을 넣고 자동차를 뽑을 수 있다면?자동차 자판기.중고차플랫폼 카나바의 타워.'전통적인 중고차 구매와 다른 새로운 구매 경험을 주겠다!'중고차 업계의 아마존.레몬 마켓으로 불리는 중고차 시장에서 차를 보지도 않고 사는 온라인에서 성공.(신뢰+편리함) 자동차 산업은 미국에서 가장 큰 소매시장임. 전략 : 중고차 시장을 온라인으로 가져와서 규모를 키우고 비용을 줄이기!(편리하고 혁신적인 구매 경험에 집중)360도 고화질 사진 + 7일 이내 환불 조건. 실리콘밸리에서 의지를 못 받았을 때 '아빠론'을 받음.상장을 할 때도 아버지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음.(비대면 시대에 성장)+ 신차 공급에 문제가 생기자 중고차 시장 성장. 그런데 2022년부터 분위기가 좋지 않았음.시장 변화 + 사업적 문제.인플레이..
2025.02.08 -
[어바웃 뉴욕] 나홀로 웃는 미국 스쿨버스 제조사 블루버드
전기차 캐즘 구간 진입.스쿨버스를 만드는 블루버드는 혼자 웃을 수 있는 이유?스쿨버스는 주행거리가 짧고 하루에 2번만 운행.(배터리나 충전 문제에서 자유로움)한파가 덮친다면 학교는 이미 휴교. 스쿨버스의 색상을 포함한 기준들이 정해짐.'스쿨버스 옐로'(밤에도 잘 보이는, 최우선은 '안전') 전기 스쿨버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 건강.(깨끗한 버스로의 전환)+ 환경 측면. 스쿨버스의 평균 주행거리는 130km.(충분한 거리)차고로 들어가서 밤새 충전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음.3대 스쿨버스 제조업체 하나인 블루버드.(시장 점유율 30%) 콘크리트 회사를 위한 버스를 만들었는데 학교에 팔게 됨.스쿨버스의 원조. 오랜 역사 끝에 쌓은 안정성의 이미지.(전기차로의 변신) 미국의 스쿨버스는 '형태'와 '탑승 인원'..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