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195)
-
[셰익스피어] 소네트 124(Sonnet 124)
소네트는 정형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의 형식을 뜻한다. 종전의 소네트는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찬양(찬미)에 가까워 클리셰가 난무하였다. 이에 셰익스피어는 다른 내용을 담아내기 위해 자신만의 소네트 형식을 만들어냈고, 그것을 '셰익스피어(식) 소네트'라고 하였다. 14행으로 3개의 콰텟(quartet, 4행의 묶음)과 하나의 커플릿(couplet, 2행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BAB CDCD EFEF GG의 각운 구조를 따른다. 셰익스피어 소네트라는 연작시집(154편)의 번역을 맡은 피천득 선생님은 "셰익스피어를 감상할 때 사람은 신과 짐승의 중간적 존재가 아니요, 신 자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라며 번역의 소회를 밝힌 바 있다. "벤 존슨을 존경하지만, 나는 셰익스피어를 사랑한다." "셰..
2021.12.18 -
[셰익스피어] 소네트 123(Sonnet 123)
소네트는 정형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의 형식을 뜻한다. 종전의 소네트는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찬양(찬미)에 가까워 클리셰가 난무하였다. 이에 셰익스피어는 다른 내용을 담아내기 위해 자신만의 소네트 형식을 만들어냈고, 그것을 '셰익스피어(식) 소네트'라고 하였다. 14행으로 3개의 콰텟(quartet, 4행의 묶음)과 하나의 커플릿(couplet, 2행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BAB CDCD EFEF GG의 각운 구조를 따른다. 셰익스피어 소네트라는 연작시집(154편)의 번역을 맡은 피천득 선생님은 "셰익스피어를 감상할 때 사람은 신과 짐승의 중간적 존재가 아니요, 신 자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라며 번역의 소회를 밝힌 바 있다. "벤 존슨을 존경하지만, 나는 셰익스피어를 사랑한다." "셰..
2021.12.18 -
[셰익스피어] 소네트 122(Sonnet 122)
소네트는 정형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의 형식을 뜻한다. 종전의 소네트는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찬양(찬미)에 가까워 클리셰가 난무하였다. 이에 셰익스피어는 다른 내용을 담아내기 위해 자신만의 소네트 형식을 만들어냈고, 그것을 '셰익스피어(식) 소네트'라고 하였다. 14행으로 3개의 콰텟(quartet, 4행의 묶음)과 하나의 커플릿(couplet, 2행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BAB CDCD EFEF GG의 각운 구조를 따른다. 셰익스피어 소네트라는 연작시집(154편)의 번역을 맡은 피천득 선생님은 "셰익스피어를 감상할 때 사람은 신과 짐승의 중간적 존재가 아니요, 신 자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라며 번역의 소회를 밝힌 바 있다. "벤 존슨을 존경하지만, 나는 셰익스피어를 사랑한다." "셰..
2021.12.18 -
[셰익스피어] 소네트 119(Sonnet 119)
소네트는 정형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의 형식을 뜻한다. 종전의 소네트는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찬양(찬미)에 가까워 클리셰가 난무하였다. 이에 셰익스피어는 다른 내용을 담아내기 위해 자신만의 소네트 형식을 만들어냈고, 그것을 '셰익스피어(식) 소네트'라고 하였다. 14행으로 3개의 콰텟(quartet, 4행의 묶음)과 하나의 커플릿(couplet, 2행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BAB CDCD EFEF GG의 각운 구조를 따른다. 셰익스피어 소네트라는 연작시집(154편)의 번역을 맡은 피천득 선생님은 "셰익스피어를 감상할 때 사람은 신과 짐승의 중간적 존재가 아니요, 신 자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라며 번역의 소회를 밝힌 바 있다. "벤 존슨을 존경하지만, 나는 셰익스피어를 사랑한다." "셰..
2021.12.17 -
위기십결 : 바둑에서 배우는 삶(투자)의 지혜
중국의 한 신하가 자신의 황제에게 헌상한 바둑의 요령 및 전략 전술을 '위기십결'이라고 한다. 큰 틀에서 보면 '투자'나 '바둑'이나 상대방(시장)을 이겨 이익을 취한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 한다. 1. 부득탐승 바둑의 궁극적인 목표는 '승리'이지만 너무 집착하면 화를 부르므로 '청심과욕'의 자세로 임해라. '수익률'에 집착하면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갖게 되어 이성적 파단이 흐려지므로 조급해하지 말고 투자에 임해라. 2. 입계의완 상대방 세력권에 뛰어들 때는 너무 깊지 않게 완만한 착수를 해야 한다. 레버리지를 일으키고 집중 투자할 '때'를 찾되 너무 급하게 서두르거나 자신의 능력을 벗어난 무리를 행하면 안 된다. 3. 공피고아 상대방을 공격하려면 먼저 자신에게 허점이 없는가를 살피라는 뜻이다. 투자를 행함..
2021.11.03 -
‘실전’ 경험 없는 ‘이론’으로 ‘자아도취’하지말자
'지상담병'이란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나라와 조나라의 전투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말 그대로 실전 경험 없이 이론에 무장한 채 전투에 임하는 것이다. 여기서 크게 문제로 작용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실전 경험이 없다'라는 것이 아니라, '이론'에 심취한 나머지 자신의 '이론'이 '실전'에서도 먹힐 것이며 '실전' 경험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큰 착각에 빠지는 것이다. 전쟁은 '목숨'을 담보로하는 싸움이기 때문에 '자아도취'해버리면 끝내 목숨을 잃고 만다. 투자도 마찬가지이다. 투자금인 자신의 목숨같은 '자본'을 자신의 '이론'만으로 형성된 '오만'함으로 단번에 첫 전투에서 패배해 영원히 전쟁에서 '퇴출'되어버릴 수 도 있다. 처음엔 '실전' 경험이 없는..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