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6789)
-
[아하빌딩] 빌딩 투자 3원칙
빌딩 투자 3원칙 : 3가지가 모두 충족하면 100%.2가지면 67%, 1가지면 33%.1. 시세 이하.싸게 사면 되팔아도 그만큼 벌고 가는 것(안전마진).2. 밸류업 가능성.중고차를 사서 튜닝을 하면 가치가 올라감.허름만 건물을 사서 신축이나 리모델링으로 가치를 올릴 수 있음.(업 시킨만큼 수익 발생)3. 입지.(유동인구가 늘어나면 임대료가 높아지고 그만큼 건물 가치도 상승)토지는 공급이 제한되는 재화(희소가치).땅 가격 상승 여력이 높음.(지가 상승분)
2025.01.18 -
[EBS다큐] "취업과 주택 걱정 없다, 결혼만 안할 뿐" 일본의 젊은 청년들은 왜 결혼을 안할까?
빈집이 많은 이유 : '저출생'과 '노령화'.(빈집 문제)상속 분쟁으로 명의를 바꾸지 못하니 팔지도 못하고.자녀가 없는 고령자가 거주 시설로 가거나. 일본 초등학교 수 현황 : 우하향.중학교가 요양원으로 리모델링되거나. 일본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구조'가 바뀜. 일본에서는 결혼 대신 '취미'로 행복을 찾으려고 함.남성의 경우 4명 중 1명이 결혼을 하지 않음. 일본의 합계 출산율은 최하위권인데 1명 이하로 떨어지지 않음.(한국은 0.72명) 한국과 일본의 20대 혼인율 : 25.3%(한국은 7.2%) '일본'에서는 졸업하면서 '직장'이 거의 정해짐.일본 청년들의 주거 문제 : 집을 빌리는 사람이 많음.(사지는 않음, 결혼할 때 집에 대한 부담은 없음) 1991년 버블경제가 끝나고 사회가 혼란스..
2025.01.18 -
[북토크] 사업, 이거 모르면 100% 후회합니다
1. 완전한 자유는 없다!SNS로 사업을 배운 사람들의 목표 : 경제적 자유.순수 자산이 많아서 이자만으로 먹고살면 가능함.(0.1% 정도)제대로 된 사업을 하면서 큰돈을 벌면서 자유는? 거의 불가능.돈이 없어서? 그럴 '시간'이 없어서임.'책임'.사장은 '책임'은 떠넘길 수 없음.직원은 절대 책임지지 않음, '퇴사'하면 그만임.책임을 지기 위해서라도 오너는 일을 할 수밖에 없음.직원이 오너와 같이 일을 할 수는 없음.'책임'에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자유'는 '희생'을 해야 함.근본적인 '마인드'를 바꿔야 함. 2. 신뢰의 역설.문제가 생기는 회사 특징? 신뢰는 있는데 '이해'는 없음.진정한 신뢰는 '앎'에서 나오고 '앎'을 위해서는 자세히 알아야 함.(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 / 하는 것과 하지 ..
2025.01.18 -
[장사건물주강호동] 지금처럼 장사만해서 내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
레버리지 : 1. 사람 / 2. 금융.성공하는 사람은 레버리지를 이용함.지금처럼 장사만해서 내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자문자답하고 스스로 '메타 인지'를 높여야함.개미가 되어서 열심히하면 성공할까? '시대'가 바뀌었음.콘텐츠를 활용해서 건물주가 되는 것이 사업에서 제일 좋음. '돈 버는 능력'과 '돈을 불리는 능력'은 다름.
2025.01.18 -
[머니인사이드] "아무리 팔아도 손해입니다" 무한리필 음식점이 돈을 못 버는 이유
무한 리필 유행의 시작, 소고기 뷔페.뷔페는 처음에는 고급 음식점이었음.1990년대 수입 소고기가 들어오면서 공급 단가를낮출 수 있어서 뷔페집에서 저렴하게 팔 수 있었음. 오히려 불황기(불경기)에 무한리필집이 잘 됨.1990년대초반 출시, 외환위기 이후 고기 뷔페 점포들이 늘어남.+ 2008년 금융 위기 이후.2015년점 연어 무한 리필집이 인기.(러시아 제재(금수 조치)로 연어 가격 폭락)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무한리필 가게들이 사라짐. 무한리필을 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범주도 다양해짐.ex) 명륜진사갈비.작년에 1,600억원에 사모펀드(PE)에 매각(100%로 보면 2,000억). 많이 먹으면 손해인 무한리필 점포가 돈을 버는 방법?사람들을 끌어들이려면 상품이 매력적이고 비싸여야함.그렇다면 무작정 많이 ..
2025.01.18 -
[박병찬의부자병법] 서울 재건축 아파트 시장 큰 판 열린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본격 추진)
서울 전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본격 추진.(무조건 실거주, 원칙적 다른 집이 있을경우 처분)= 거래량 감소, 가격 하락.>꽉 막힌 규제, 서울시가 풀어드립니다! 앞서가는 뉴스가 나오면 서울시에서는 '반박(해명) 기사'를 내지 않음.(정책이 그대로 추진함에도)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운영에 대한 검토 및 분석, 용역 발주 - 완료보고회. 공공재개발 후보지, 신속통합 후보지. 그렇다면 먼저 풀릴 지역은? 지역별 저평가된 APT 분석 필요.('06~'08 / '12~'13 / '21'22 대비 상승률)토지거래허가구역은 '풍선효과'라는 '부작용'을 낳음.(KDI,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등이 발표)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