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대한민국의 평균 올려치기 문화
2024. 10. 3. 22:37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5천만.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상위 30%)
연령별 주택소유율은 적음(30대는 10%).
(30대 전체 인구 중에서는 25.3%)
결혼 적령기 30대초중반만을 보면 통계는 더 낮을 것임.
얼마나 보는지 볼 수 있는 소득은?
연령별 평균 소득은 30대 344만 원.
(전체 평균 320만 원)
중위소득으로 보면? 264만 원.
(250만을 버는 것이 평범한 것)
직업 : 대기업, 공기업, 전문직?
대깅버 일자리는 전체 중 16.6%.
대기업 정규직+사무직만 잡으면 더 적어짐.
공공부문 일자리는 11%.
전체 임금근로자 중에서 비정규직이 30.1%.
학력?
인서울 4년제는 11%만 가능.
30대가 되면 결혼을 한다?
30대 남자는 이미 절반을 넘김.
(+ 증가 추세)
평범한 노후?
노후 준비 여부 설문조사, 잘 돼있는 대답은 8.7%뿐.
(노인 빈곤율은 40%대)
그런데 전부다 동시에 충족하면? 이미 은수저 이상임.
다수의 평범한 사람들보다 소수의 잘 사는 사람들이 눈에 띄면서 착시가 발생함.
(잘난 사람들만 일상을 공유하기 때문)
미디어에서의 평균은 많이 과장되어있음.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왕 이형] 기업이 학벌을 보는 이유와 안보는 이유 (0) | 2024.10.06 |
---|---|
[주언규] 월 수익 0원 되고 보니 가장 후회되는 것 (0) | 2024.10.06 |
[지식한입] 알고 마시면 좋은 삼다수 이야기 (0) | 2024.10.03 |
[일사에프] 연봉 200억 펜트하우스에 산다, 일타강사의 세계 (0) | 2024.10.03 |
[성공한스푼] FBI 최고 협상 전문가의 협상의 기술 (0)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