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알고 마시면 좋은 삼다수 이야기

2024. 10. 3. 21:37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국내 생수 시장 규모가 엄청 큼.

대표적인 것이 1인 가구의 증가.

(+이커머스 배달의 편리함)

국내 생수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

밥상이 크니까 올라오는 수저도 많음.

(지금도 신제품이 나오고 있고 경쟁이 치열함)그런데 제주 삼다수가 42.8%를 유지하고 있음.

(업계 1위)

 

'식수'라는 것은 '필수품'임.

인구가 늘면 식수에 대한 수요도 정비례할 수밖에 없음.

2000년 60억에서 2020년 78억이 됨.

(제일 큰 시장은 아시아)

 

수질 오염 관련으로 생수 시장이 더 커짐.

 

삼다수가 수질 관련해서는 행정처분을 받은 적이 없음.

(출시 이후로 25년을 팔면서, 수질이 경쟁력)

취수원이 제주도 지하수 딱 1곳이고 제조사도 1개(제주개발공사).

(심지어 수질 관리 업체로 선정)

매출의 3%를 R&D에 투자하기까지.

 

제주도에 비가 내리면 바다로 흘러내리고 증발하고

남은 44%가 지하수로 스며들게 됨.

1년에 0.1% 밑으로만 취수를 제한함.

 

빗물이 지하수가 되기까지만 무려 18년 정도가 걸림

(여과되면서 불순물 제거, 천연필터 역할).

(제주도는 현무암이라서 유리)

 

생수는 얼마나 많은 미네랄이 들어있냐가 관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