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찬의부자병법] 이 원리만 깨달아도 부린이 탈출합니다
2024. 2. 5. 12:5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하급자와 상급지 부동산 갭이 비슷하다면?
하급자 외곽의 갭은 몇천만 원이 한계선임.
거기서 투자금액이 올라가면 상급지와 비슷해짐.
그러면 투자하면 안됨.
노도강은 2008년에 노원, 도봉, 강북이 급등하면서 만들어짐.
2006~2007년 대세상승기 때 오르지 못함.
왜 못 올랐을까? 당시 노도강 갭으로 중심지를 살 수 있었기 때문임.
중심부와 비슷한데 누가 노도강에 투자할까요?
그러다가 중심부가 급등하면 상대적으로 갭이 낮게 느껴짐.
그러면서 몰림.
(투자자는 갭금액이 중요)
중심부가 오르지 않으면 외곽이 떨어지거나
중심부가 오르면서 외곽도 맞춰서 오르거나.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하는 대구의 상권, 숨은 핫플의 탄생 (0) | 2024.02.05 |
---|---|
[30대자영업자이야기] 필라테스 강사 그만두고 장사해서 월매출1억 (0) | 2024.02.05 |
[30대자영업자이야기] 무명배우 생활하다가 카페차렸더니 월매출 1억 (0) | 2024.02.05 |
[30대자영업자] 28살 여사장님이 카페창업으로 한 달 1300만원씩 벌 수 있는 이유 (0) | 2024.02.05 |
[박병찬의부자병법] 부동산 투자할 때 불안하고 초조하다? (0)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