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786)
-
[하꼰대] 왜 카페 창업은 90% 망할까? (f. 스타벅스의 회생)
스타벅스가 어려운 시기가 있었음.스타벅스의 디지털 전환은 극적으로 이루어짐.1987년에 창업한 스타벅스는 하워드 슐츠 회장의리더십 아래 눈부신 성장을 지속.그런데 2000년 CEO 자리를 전문경영인에게 넘기고 물러섦.그 후 지나친 매장 확대에 따른 공급 과잉, 세계 금융 위기 이후던킨과 맥도날드 저가 커피에 따른 경쟁 가속화로 매출이 급감.2008년 1월 결국 복귀.전세계적으로 3시간 동안 스타벅스는 셧다운을 진행.커피에 맛에 집중.커피 맛에 대한 교육을 다시 시킴.금액으로 따지면 600만불의 손실.본질적인 것에 대한 탐구.(장인 정신)본질 + 마케팅 + 서비스.(사업은 종합예술) 본질과 비본질의 조화가 필요.
2025.07.29 -
피에르 부르디외 - 유명 저서와 요약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로, 사회 구조와 인간 행동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분석한 이론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핵심 개념인 ‘아비투스(habitus)’, ‘장(field)’, **‘자본(capital)’**은 사회학, 교육학, 문화이론 등에 큰 영향을 주었어요.다음은 부르디외의 대표 저서와 간단한 요약입니다:📘 1. 《구별 짓기: 사회적 판단력의 비판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 du jugement, 1979)》요약:사람들이 예술, 음식, 취향 등에서 드러내는 ‘기호’는 개인의 사회적 위치와 계급에 따라 결정된다는 내용.상류층은 문화적 취향을 통해 자신을 구별 짓고, 하류층은 그것을 모방하거나 배제당함.즉, 취향은 개인의 ..
2025.07.29 -
[김단테] AI의 미래 여기서 시작됩니다
갑자기 나타난 삼성전자 공시.글로벌 기업이랑 22.7조 원 규모의 계약.삼성은 계약 상대방을 알려줄 수 없다고 했지만 일론 머스크가 밝힘.블룸버그 : 삼성전자 파운드리 매출 연간 10% 증가할 것이라고 봄.머스크 : 165억 달러 수치는 최소한의 금액에 불과합니다.실제 생산량은 수배 더 많은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AI 시리즈는 테슬라의 핵심 칩 라인.AI4 칩 : 삼성전자의 5~7나노, 2023년부터 모델 S, X, Y 등에 탑재.AI5 칩 : TSMC의 2~3나노, 2026년 1분기 양산 목표.AI6 칩 : 삼성전자의 2나노 (이번에 계약) AI칩이 하는 일 : 차량 내부에서 카메라 8대(전방 레이더) 영상을실시간 처리해서 FSD V13 알고리즘을 돌림. 삼성전자가 테슬라로부터 약22조원 규모의 반도..
2025.07.29 -
[미래수업] MZ세대 : 암호화폐, 주식 투자를 불가피한 재테크 방법으로 인식
MZ세대 : 암호화폐, 주식 투자를 불가피한 재테크 방법으로 인식.암호화폐 시장의 하루 거래대금 46조.(코스피 거래대금의 약 3배)그런데 암호화폐 예치금은 코스피의 1/11.예치금 VS 거래대금.사고팔고 사고팔고.끊임없이 거래가 이루어지는 암호화폐 시장. MZ세대들의 수익률은? 예전부터 주식 투자를 해오던 사람은 18.8%.신규 투자자는 5.9%.그런데 수수료랑 세금을 감안하면 신규 투자자는 마이너스.20~30대가 공격적인 투자를 많이 하다 보니 거래 비용이 불어남. 유동성 확대로 자본시장에 돈이 흘렀고 공격적인 투자를 한 MZ.그런데 단기적인 이익에 몰입, 불안을 감수해야했음.
2025.07.29 -
[슈카월드] 관세 협상에 강경대응하는 캐나다와 관세 협의 임박한 EU
캐나다는 나쁜 거래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임.우리의 목표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아님.우리는 캐나다 국민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합의를 추구할 것.캐나다 입장에서 아주 큰 결단이 필요한 시점.트럼프가 부과한 캐나다의 관세는 35%.(8월 1일부터 부과)미국은 캐나다의 가장 큰 교역상대로 전체 수출의 약 3/4을 미국에 수출.트럼프 : 우리는 캐나다와 큰 행운이 없었습니다!저는 캐나다와 협상은 글렀고 관세만 부과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미국과 EU는 현재 관세 협상중.
2025.07.29 -
[슈카월드] 일본 관세 협정, 다음 차례는 한국?
일본이 자동차와 일부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 제품에 대한시장 접근을 확대하는 내용의 협정을 미국과 체결한 이후이번 주에 한국에 대한 압박이 커짐.우리나라도 합의 도출을 위한 총력을 다하는 중.정부는 시한에 얽매여 국익을 희생하지 않는 선에서 최선의 결과 도출 목표.실제로 25일(금) 예정되었던 한미 2+2 통상 협의.'구윤철 부총이 공항에서 발길 돌려'하지만 출국 직전 한미 재무/통상 2+2 회담 일정 전격 취소.(재무장관과의 일정 충돌로 연기)아무튼 2+2 회의는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진행될 예정.(양국의 최고 무역 사절단 간의 일정을 가능한 한 빨리 변경할 것)우리나라도 일단 목표는 자동차를 포함한 15% 관세일 것임.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한국과의 협상에서 4,000억 달러 규모를 제안했다고 관계자..
202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