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12406)
-
부동산 공급 절대 부족시 투자자(다주택자) 개입은 전세와 매매를 둘다 올린다
투자자의 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느냐? 아니면 투자자의 개입을 강제로 막느냐? 부동사 공급 부족은 최소 3년이라는 시차가 발생하기에 공급 부족시 위 두 가지 선택지에는 아래와 같은 메커니즘이 발생한다. ㅇ 투자자 자유로운 개입 -> 매매가 상승 -> 다주택자 임대 물량 많음 -> 임대 안정 -> 갭(투자금) 벌어짐 -> 매매가 하락 ㅇ 투자자 개입 규제 -> 매매가 안정 -> 다주택자 전세 임대 없음 -> 임대 불안정 -> 전세가 상승 -> 상대적 소수 투자 및 실수요 투입 -> 매매가 상승 결국 결과는 다주택자를 규제할 시에는 매매가와 전세가가 둘 다 오르는 결과를 맞이한다. 시장 체제에 맡길 시에는 임대는 안정되고 매매가는 오르는 결과를 맞이한다. 그럼 어떤 결과가 더 좋은가? 매매가 상승은 공급 부족..
2022.03.14 -
부동산 투자시 원칙이 필요한 이유
부동산 투자 시 '원칙'은 매우 중요하다. 글로벌 세계 1위 헤지펀드의 수장인 레이 달리오가 강조한 '원칙'에 입각한 투자는 '원칙'이 있어야 과거 데이터로 남는다는 것이다. '묻지 마 투자'는 투자 시 증지식으로 축적되지 않고 증발해버린다. 원칙을 가지고 투자를해야 사례로 남아 반면교사로 삼든, 귀감으로 삼든 나의 스승이 되어준다. 그리고 원칙을 가지고 투자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시장은 살아있는 생물과 같아서 이리저리 쉽게 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부동산 투자 원칙은 '입지'에 입각한 '아파트' 투자인데 저렴하다는 이유로 '입지'를 무시하거나 규제를 덜 받는다는 이유로 '아파트 대체재'를 투자하거나 하는 우를 범하면 차후 시장이 바뀌었을 때 싼 값에 매도를 해야 하거나 최악의 상황인 경우 매도..
2022.03.14 -
[빌리언스] 정치에서 중요한 것
일어날 일은 꼭 일어나는 법. 감대로 했네. 난 원래 일할 때 감을 믿는 편이거든. 비법이 뭐냐고? 대부분 그렇지만 간단하지. 될 사람을 골라. 방해가 될 만한 것들을 제거하고 남들이 알아볼 수 있게 내놓는 거지. 선거는 머리싸움이 아니야. 후보 싸움이지. 후보 안에 뭐가 있는가가 중요하네. 내 친구들은 자네 친구가 될 거고 자네 적들은 내 적들이 될 거야.
2022.03.13 -
[빌리언스] 성공을 위해 두려움을 대하는 방법
목구멍 뒤에서 두려움의 맛이나. 대부분은 그 두려움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려고 하지. 최대한 빨리 삶 너머로 떨쳐내려 해. 하지만 난 그걸 가꾸는 남자야.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리한 후 사용하지. 그런 식으로 생존했고 자라왔어. 지금도 그런 식으로 살고 있다고. 내 두려움에 귀를 기울이는 셈이지.
2022.03.13 -
[빌리언스] 누군가가 남을 좋아하는 3가지 이유
그 사람은 저를 좋아해요. 누가 남을 좋아하는 한두 가지 이유 중 있겠죠. 남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보거나 활용 가치가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죠. 이 경우는 아마도 둘 다 인 것 같네요. 남을 좋아하는 이유가 하나 더 있어요.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갈구죠. 그것을 메꿀 사람이 필요해요.
2022.03.13 -
[빌리언스] 자연의 본질 : 죽거나 강해지거나
안타까운 일이죠. 그들이 직면할 빈곤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자체가 유쾌하진 않아요. 하지만 도시는 사업과 비슷합니다. 사업이 의도대로 흘러가지 않고 수치가 맞지 않는 대로 거기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별생각 없이 있다가 연방 정부 같은 어떤 구제자가 나타나서 빚을 탕감해줄 거라 착각하는 게 훨씬 더 불쾌합니다. 도시가 자초한 일입니다. 바로잡아야 합니다. 분명 어렵겠지만 되살릴 방법이 있을 거예요. 탈레브의 말마따나 '죽거나 강해 지거나'입니다. 일단 도시가 역경에 맞서면 살아남아서 더 강해지거나 사라지겠죠. 자연의 본질이 그러한 것처럼 어느 쪽이든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