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5)
-
주식 묻지마 투자는 도박에 베팅한 것이랑 똑같다
여러분 친구가 자신에게 다가와 이런 말을 한다. '아, 주말에 경마장이나 가볼까?' 그러면 당신은 미쳤냐고 열심히 번 돈 날리고 싶냐고 반응할 것이다. 그럼 친구가 '아니 그냥 경마장 가서 말 고르고 그 말 뚫어지게 쳐다보면 1등 하는 거 아냐?'라고 한다. 그러면 당신은 그게 말이 되냐고 쳐다본다고 그 말이 1등 하냐고라고 반응할 것이다. 그렇다. 당신이 주변에서 들은 '카더라 통신'에 의해서 피땀 흘려 번 돈을 투자하고 그냥 호가창을 뚫어지게 본다. 그게 앞의 친구가 말한 것이랑 뭐가 다른가? 그 회사가 무엇을 하는지 경제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지 그 비즈니스 시장의 현재 규모와 커질 가능성은 무엇인지 PER, PBR, ROE 등 기초적인 지표는 무엇인지 등등 필수적인 정보는 알지도 못한채 덜컥 베팅을..
2022.01.05 -
호재 발표에 목숨 걸지마라
시장 활황기에 꼭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바로 자그마한 '호재 발표'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다. '호재 발표'라는 것은 미실현 호재이고, 이것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한 것은 '투자' 수요이다. 결국 '실수요'가 받쳐주려면 호재가 실현되어야 하는데 평균 5~10년은 걸릴 것이다. 그만큼 큰 '호재'였기 때문이다.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시장이 좋을 때는 아주 작은 '호재'도 크게 반영하고 시장이 좋지 않을 때는 아주 큰 '호재'도 작게 반영하거나 무시해버린다는 것이다. 결국 '부동산 시장 상황'이 '선결 조건'이라는 것이다. 우선, 부동산 시장이 좋은지 얼마나 지속될지에 대한 '예측'과 '대비책'을 마련해두어야 한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호재'에 따라 '가격'이 '호재'에 비해 버블이 많..
2022.01.05 -
직장에서 최고가 될 것인가 직장 외에서 중간 이상이 될 것인가
직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직장에서는 우리는 '노동자'이기 때문에 그에 걸맞은 노동으로서 승부를 보면 된다. 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은 '일을 그만두기 위해서 일을 한다.' 극소수만이 자신의 일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더욱더 발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 일도 잘하고 성격도 좋아 인기도 많다. 이런 사람은 배제된 상태에서 이야기해보겠다. 대부분은 생계를 위하여 다른 것을 하기 위한 금전적 발판으로 시작하거나 아니면 그냥 노동 소득으로 평생을 계획한다. 우선 직장에서 들어갔다는 말은 대부분 놀고먹어도 되는 부자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노동을 하면서 놀고먹어도 되는 부자를 꿈꾼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 더욱더 필요 이상으로 일에 매몰하거나 괜한 직장 스트레스를 받아서 일의 효율도 ..
2022.01.04 -
부동산 가격 많이 올랐으니 이제 떨어지는 게 맞다?
투자의 신이라 불리는 '조지 소로스'는 한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 '나는 신이 아니다, 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모두 파산했으니까. 난 파산하지 않았으니 신이 아니다.' 투자 분야에서 마켓 타이밍을 맞추는 것은 신의 영역이다. 그럼 단순히 가격이 많이 올랐으니 떨어져야 된다는 논리는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인가? 우선 '많이 올랐으니 떨어져야 한다.'라는 명제부터 해부해보자. '많이'는 도대체 기준이 무엇인가? 가격은 대중들의 합이고 제각각 기준이 다르다. 1억에 산 사람은 2억이 된 아파트가 많이 올랐다고 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기대 수익률은 사람마다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2억에 산 사람은 아직 2억이기 때문에 많이 올랐다고는 볼 수 없다. 1억 5천에 산 사람은 기대 수익률이 낮아서 ..
2022.01.04 -
저 사람은 '운이 좋아'라고 치부하지 말고 성공한 사람 말을 들어나 보자(생존 편향)
'생존 편향'이란 단어는 무엇일까? 예를 들어 부동산의 어떤 방식으로 성공한 사람 이야기를 듣는데 실패한 사람은 망해버렸으니 들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만인에게 통용되는 절대 공식은 없다. 만약에 누구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식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러면 이 명제는 모순이 되어 버린다. 누구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 초과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존 편향을 가정하면 우리는 아무 이야기도 들으면 안 된다. 결국, 그 공식의 성공 확률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들어본 뒤 나와 맞다면 계속 그것을 고집해서 수익을 창출하면 된다. '저 사람은 순전히 운이야!'라고 치부해버리면 우리는 아무 발전도 할 수 없다. 결국 현재 자신의 모습에 쳇바퀴를 ..
2022.01.02 -
공짜 좋아하지마라
우리가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혁신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즉, 습관부터 시작해서 장기적으로 '뇌'를 바꾸어야 한다는 말이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답을 내려준다. 즉, 공짜로 좋아하고 거저먹기를 좋아한다면 뇌는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이끈다. 'DNA'에 박힌다는 것이다. 그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멀리해야 한다. 공짜로 주어도 거절하며 소소한 금액에 목숨 걸고, 1원의 손해도 안 보려는 자린고비의 마인드를 버려서 우리의 뇌를 구조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다만,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것이 하루아침에 바뀐다면 세상에 부자들은 넘쳐날 것이고, 그렇다면 '부자'라는 단어의 존재 의미가 희석되어 버린다. 한 순간의 공짜도 바라면 안 된다. '한 순간이라도 괜찮겠지?'라는 순간 뇌에 박혀 버리고, ..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