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1016)
-
인구 감소로 집값 하락하니 투자 안한다? = 서울대 미달나니까 공부 안한다?
인구 감소로 부동산 투자가 망한다고 부동산 투자를 하지 말고 집값이 내려가길 기다린다? 마치 인구가 감소한다고 공부 안 하고 서울대 미달 나니 합격할 것이라는 말과 같음. 인구 감소로 지금 대학교 사정을 보면 부동산 미래를 알 수 있음. 지금 오히려 인서울 대학교의 경쟁률은 더 높아졌음. 그 말은 즉슨 지방대에는 가지 않으려고 함. 왜냐하면 수도권의 '인프라'를 누리고 졸업 후 바로 그 근처 '일자리'에 들어가기 위해서임. (일자리가 있는 곳에 사람이 모이고 즉, 돈이 모이고 인프라가 생기고 또 사람이 모이고 또 인프라가 생기는 '선순환') 결국 인구 감소로 집값이 하락한다는 것은 입지가 좋지 않은 곳의 이야기임.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입지가 좋은 곳을 더더욱 경쟁이 심해지고 가격이 오를 것임. 그러니 인..
2023.06.06 -
성공은 지수함수라서 성공이고, 그렇기 때문에 어렵다
성공은 지수함수임. 처음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보이지 않다가 임계점, 티핑 포인트를 돌파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함. 그래서 성공을 하면 남들보다 훨씬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음. 대부분은 인내심이 약해서 임계점 전에 포기를 해버림. 그래서 대다수가 성공을 하지 못함. 그렇기에 ‘성공’이라는 단어가 존재하고 소유의 전유물이 된 것임. 성공이라는 것을 획득하기 어렵고 만약 그 성공을 획득했을 시 엄청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꾸준히 방향을 바꾸지 말고 노력한다면 반드시 그 성공에 도달할 수 있는 것임.
2023.06.06 -
즐기는 것도 때(젊어서 즐겨라!) 가 있다? 그저 핑계일 뿐이다! (이중잣대)
세상에서 제일 잘못된 의사결정이 '이중잣대'임. 요즘 남녀 서로의 눈높이가 안 맞아서 그리고 다 갖춰진 상태(집값 상승 등)에서 결혼을 하고 싶어서 결혼이 늦어지고 있음. 그리고 사람들도 이것을 인식하고 빨리 결혼하려고 하지 않음. 그 근거는 '초혼 연령대 통계치'를 보면 알 수 있음. (수명도 길어졌음.) 눈이 높아진 것 등 좋은 직장 구하기도 힘들고 과거 30대와 현재 30대는 느낌이 많이 다름. 과거에는 30대면 가정을 이룬 아저씨였지만 이제는 '사회초년생' 느낌이 강함. 그런데 왜 즐기는 것의 '젊음'의 기준은 20대인가? 그저 높이 올라가고는 싶은데 어렸을 때처럼 '방향'을 누가 정해주지 않고 그렇다고 방향을 정하기도 싫고 정했어도 '노력'은 하기 싫은 '핑계'임. 시대 흐름상 '젊음'의 기준도..
2023.05.29 -
부동산 가격이 왜 떨어져야하나요? (물가상승)
물가는 계속 오르기 마련임. 왜냐하면 '화폐'를 계속 찍어내기 때문임. (총통화량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음.)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떨어지기 마련임.(수요가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는 이상.) 위 뉴스에서도 보듯이 물가는 미친듯이 올라가고 있음. 코로나발 유동성 확대로 더더 엄청나게 올랐음. '외식비'가 왜 올랐을까? '재료비'와 '인건비' 비싸졌기 때문임. 그럼 부동산은? 재료비 + 인건비 + 토지비 등 이것의 가격도 당연히 상승한 것임. 그리고 문제는 한번 올라간 '물가'는 다시 내려가지 않음. (임금이 올라서 다시 내려가지 않듯이) 결국 현재 부동산은 거품이 꺼지고 있는 것이지 '전저점'을 뚫고 쭉쭉 내려가지 않음. 왜냐하면 '원가' 이하로는 절대 내려가지 않기 때문임. 그리고 부동산..
2023.05.29 -
'워라밸 중요시하는 2030 직장인들'에서 투자 기회를 찾자! (KBS NEWS)
개인 삶의 초점이 맞춰져있고 있음. 개인주의 성향이 짙어지며 '워라밸'을 중요시하고 있음. 그런데 임원이 되지 않다는 것은 비임원이라는 것인데 그러면 절대로 '노동 소득'으로 진정한 '워라밸'을 하지 못함 요즘 세대들은 '9 to 6'로 평일 일하고 주말만 쉬는 삶을 원하지는 않을 것임. 그렇다면 결국 '파이어 족'이 되고 싶다는 것인데 그러려면 2030 세대들은 무엇을 볼까? 세상의 '돈'은 증발하지 않음. '노동 소득'이 감소한다면 늘어나는 것은 '투자 소득'임.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2030 세대들은 이제 상황이 좋아지면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임.(코로나 때처럼) * 물론 공무원/교사 직종들은 관심이 없음. (평생 직종이라는 것에 중독이 되어서 하지만 길게..
2023.05.28 -
여자들이 말하는 평범한 남자의 속뜻?(확률)에 대한 '생각' ('AND'를 붙여라!)
평범한 남자의 조건 비율. 조건 1. 인서울 지거국 = 1/8. 조건 2. 대기업 = 1/25. 조건 3. 선한 외모 = 많이 쳐서 1/2. 조건 4. 키 180 이상 = 1/4 조건 5. BMI 지수 25 이하 = 1/3. 조건 6. 자기 관리 = 수치화 불가로 대략 1/2. 조건 7. 섬세한 남자 = 1/2. 조건 8. 서울에 사는 남자 = 많이 쳐서 1/5(자가 X 포함) 8가지 확률 교집합을 시키면 = 1/96,000명. 참고로 91년생 남자가 36만 명이니까 전국에 딱 4명. 4명이 있다고해도 짝이 있거나 없다고 해도 여자를 거부할 수 있음. 진정한 평범남의 기준. 1. 재산 : 지방이라도 대출없는 3억 아파트 자가 혹은 최소 전세금 2억 이상. 2. 신체 : 키는 175이상, 몸무게 65~80..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