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리라이프] 주식 투자, '자금조달 비용'의 중요성
2023. 7. 31. 09:40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투자, 'Cost of Capital.'
'자금조달비용'.
어떤 기업이 공장을 짓거나 빚을 갚거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금 조달을 해야 함.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을수록 경쟁력이 커짐.
어떻게 줄이느냐 합리화시키느냐가 경쟁력에 큰 비중을 차지함.
크게 3가지.
1. 은행에서 빌리는 것.
2. 채권 발행.(5~10년 만기)
3. 주식 발행.
돈을 모아 투자를 하고 배당도 주고 하는 것.
자금조달비용 중에서 이자를 안내면? 차압이 들어옴.
이자를 채권소유자한테 주지 않았을 때 기업에 문제가 됨.
이자와 원금을 안 갚을 경우 '디폴트'가 됨.(파산)
회사가 잘못되었을 때 주식을 가진 사람은 나중에 돈을 받음.
회사가 망하면 세금을 먼저 갚고 그다음 은행 빚 그다음
채권, 그리고 마지막이 주식을 소유한 사람들임.
기업에서 자금조달하는 입장에서 보면 어디가 비쌀까요?
* << 주식 발행 >> 임.
주식을 사는 사람 입장에서는 가장 위험을 많이 감수하한 것이기 때문임.
회사에서 주식을 발행할 때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한테
많은 '보상'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함.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은 기업은? '시가총액'이 큰 기업.
M&A도 수월하고 계속 더 성장할 수 있음.
* '시가총액'의 중요성.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승연의탐구생활] 항구 근처에서 금융이 발전하는 이유? (0) | 2023.07.31 |
---|---|
[북토크] 3가지 능력이 없으면 'AI 시대'에 살아남지 못합니다 (초인류) (0) | 2023.07.31 |
[행크TV] 주방에 알바 대신 로봇을 쓰는 세상 어떻게 변할까? (0) | 2023.07.29 |
[렘군] 2023년 세법 개정안 이후 부동산 시장 향방은? (0) | 2023.07.28 |
[북토크] 성공하는 방법 (많이 일하기 VS 어떻게 일하기)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