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토크] 성공하는 방법 (많이 일하기 VS 어떻게 일하기)

2023. 7. 28. 11:00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일의 양이 아니라 '어떻게 일하느냐?'가 중요함.

1. 해결책.

일을 잘한다는 것은 해결책을 만드는 것임.

예를 들어 거래처가 납품을 갑자기 늦게 한다면

- 사은품을 끼워서 넣어주나든지

- 거래처 잘못이 아니라 인기가 많아서 늦어지는 거라

취소하면 언제 받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하든지.

이런 식으로 '환불 조치'를 막을 방법을 고안할 수 있음.

세상 모든 사업과 우리의 업무는 '누군가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임.

이것이 바로 '본질'.

본질을 해결해 버리면 일을 잘하게 되는 것임.

결국 일을 잘한다는 것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뜻함.

실패하는 사람들은 문제에 대해 걱정만 하고 압도되어 버림.

반면에 성공하는 사람들은 해결책을 고민함.

해결책을 내놓으니 유능하다는 평판을 받고 더 많은 기회를 얻음.

해결책을 가져오는 것이 성공하는 첫 번째 비결임.

2. 소통.

모든 일들은 '파편화(분업화)'되어 있음.

효율적이지만 다른 일을 이해할 수 없음.

그리고 점점 심해질 것임.

<< 초인류 >>라는 책에서는 AI가 늘어나면서

대다수의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함.

기존 100명이 해야 할 일을 1명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임.

각 업무마다 사람이 1~2명만 있으면 됨.

그러면 더더욱 '소통'이 필요함.

그 일을 하는 사람이 1명뿐이면 무조건 소통해야 함.

다른 부서와 협업을 해야 할 때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대화를 조율하고 협상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해짐.

소통을 잘하려면? 아는 것이 많아야 함.

최소한 소통해야 할 상대가 어떤 프로세스로 일하는지 혹은

그 사람이 하는 일의 기본 상식, 배경 지식은 알아야 함.

그리고 정확히 전달하는 것.

3. 태도.

'본질'임.

<< 어떻게 능력을 보여줄 것인가 >>라는 책에서는

현대인 대부분이 하는 일은 객관적으로 성과를 측정하기 힘들다고 함.

서비스업의 친절함, 콘텐츠나 서비스의 질,

모두가 동의하도록 파악하는 방법은 없음.(주관적임)

미소, 친절, 성실 등만 갖춰도 더 일을 잘하고 능력 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다른 사람 눈에 보이는 태도.

그리고 '나의 태도'

자신이 사업을 할 것처럼 아르바이트를 하면 즐거움도 얻고 월급도 받음.

(행복과 성장)

'어떤 태도를 선택하느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