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다던 경기 침체 어디로? 3개 지표가 알려준 신호 (KBS)
2023. 7. 10. 20:28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미국 경기 침체 신호... 우리 경제 영향은?
미국은 탄탄한 소비와 고용으로 버티고 있음.
여전히 소비, 쓸 돈이 있음.(임금과 고용이 받쳐줌)
실업률이 3% 대가 목표인데(4%가 침체) 3.7% 임.
실업률은 '후행지표'임.
금리를 내릴 때의 상황을 봐야 함.
금리를 보면 답을 알 수 있음.
올리다가 내리는 경우 2가지.
1. 물가를 잡았을 경우(목표 물가 2%, 현재 4%)
2. 외부 경제 충격
경기 침체를 바라보는 지표 중 하나가 '장단기 금리차'.
10-2년 장단기 금리차.
9번의 역전이 있었는데 8번이 경기 침체가 옴.
최근에 1980년 이후로 40년 만에 최대폭으로 벌어짐.
앞으로 경기가 안 좋아지게 되면 장기 금리는 떨어지고
은행 입장에서 현재 고금리로 예금받아서 대출을 주면 적자가 돼서 '대출'을 안 해줌.
(그래서 '경기 침체'가 옴.)
미국 경기선행지수 경기침체 신호.
ISM 제조업 구매관리지수.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기준점 50 이하.(경기 수축기)
앞으로 1년 안에 경기 침체가 올 확률이 높다고 봄.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사남] 빌딩 투자전 반드시 체크해야할 사항 (0) | 2023.07.10 |
---|---|
[부룡의 부지런TV] 소형 아파트 청약 인가? 전부 무너질 수 있습니다 (0) | 2023.07.10 |
[렘군] 지방은 '상권'과 '학군'만 보면 됩니다 (지방의 입지역전?) (0) | 2023.07.10 |
[부동산김사부TV] 우리에게 부자가 될 기회가 엄청 많습니다 (0) | 2023.07.10 |
[에스오디] SKY 자퇴하고 의대가는 이유에 대한 사업가의 생각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