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아재] 조엘그린블라트의 << 마법공식 >> 3분만에 습득하기! (홍진채)

2023. 5. 27. 12:48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핵심은 간단함.

'좋은 것을 싸게 산다' + '퀀트'

정성적으로 훌륭한 회사,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매크로, 밸류에이션 등 할 필요없고 '퀀트' 방식으로 해라!

아주 단순한 몇가지 숫자 기준들만 가지고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공식'에서 이야기하는 종목 5~10개를 가지고 기계적으로 교체해라!

 

ㅇ 좋은 것은? 성능 좋은 머니 머신 : ROC(Return on Capital) = EBIT / C(=순운전자본 + 순고정자산)

*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중에서 사업을 하는데 필요한 자산(현금, 매출채권) - '유동부채'(사업에 필요한 단기부채)

+ * 순고정자산(공장 가동할 때 설비 자산 같은 것)

→ IC(Invested Capital, 투하자본)

* EBIT(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 영업이익)

 

'주식'이라는 것은 나한테서 돈을 가져가서 돈을 만들어서 돈을 돌려주는 '자동판매기'임.

 

ㅇ 싼 것은? 가성비 : Earnings Yield(이익수익률) = EBIT / EV(=시가총액 + 순이자부담부채)

* EV(총 가치, 시가총액+순이자부담부채)

회사를 통으로 다 사고 싶다고 했을 때 주식만 산다고 해서 주인이 아님.

(채권자가 포함한 채권도 다 사야 함.)

 

성능 좋은 것을 싸게 사 오자!

 

모든 주식에 대해서 '자본수익률'을 뽑을 수 있고 '이익수익률'도 뽑을 수 있음.

지구상에 존재하는 주식에 대해서 '순서(절댓값 X)'를 세울 수 있음.

 

여기서 상위 5개만 사겠다! 10개만 사겠다! 하면 됨.

ㅇ 케스케이딩 : 재무적인 지표는 '분기별'로 나옴.

1년간 들고 있으면 3분기 것이 누라이 되어버림.

그런데 분기별로 하면 4번을 교체한다는 것인데 '거래 비용'이 많이 발생함.

'재무 데이터'를 가지고 성과를 보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마련임. 

(저평가가 해소되는 시간이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