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군] 갭투자의 종말? 다음 투자 전략은?

2023. 5. 15. 20:3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지금 전세가율이 50% 밖에 안 됨.

1억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갭을 끼고 사려고 함.

그러면 최대 매매가 2억짜리임.

2억 아파트 입지나 상품성이 많이 떨어질 것임.(하위 20%).

 

'갭투자'가 유리한 시기가 있고 아닌 '시기'도 있음.

지금은 불리함.

 

과거에는 전세가율이 80~90%였고 10%만 있으면 대출 없이 살 수 있었음.

전세가율이 높아서 매매가도 끌어올렸고 소액이고 개수가 제한이 없었음.

전세가율.

개수 제한.

취득세.

임대차 3 법(4년).

 

전세가율이 왜 낮아졌을까? '금리'와 과거 상승장에 따른 '공급'

그리고 정책적인 '개수 제한'.

 

갭투자가 유리한 상황이 올 수 있을까?

금리, 입주물량, 정책.

'금리'는 통제할 수 없음.

'입주 물량'도 통제할 수 없고 답이 나와있음.

'정책'은 알 수가 없음.

하지만 '방향성'은 알 수 있음.

 

밑도 끝도 없이 '갭'으로 사려는 것은 힘듦.

완벽한 상황이 오기까지 기다려서는 안 됨.

언제 올지 모르기 때문임.

 

투자는 '갭투자'만 있는 것이 아님.

실거주가 가능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이 가능하다면? 갭투자를 할 이유가 없음.

낮은 금리로 대출을 일으켜서 가는 것이 나음.

(전세가율보다 한도(70~80%)가 높음.)

지금은 '갭투자'를 하기보다 미리 사둬야 함.(대출을 이용해서 월세 세팅)

'이자'가 '월세'보다 높아도(2년 치) 시세가 오르면 이득이 될 수 있음.

- 계속 기다리는 것이 '능사'는 아님.

 

'분양권 투자'도 고려해 볼 수 있음.('취득세'도 들어가지 않음.)

그다음은 '재건축/재개발'.

그런데 취득세 때문에 재건축은 높으니 '재개발'을 노릴 수도 있음.

 

그리고 '수익형 부동산'의 '최고봉'은 '빌딩'임.

작년 4분기보다 거래량이 아파트는 올라감.

하지만 빌딩은 더 내려감.

왜 그럴까?

'빌딩 시장'은 아파트 다음 올랐기 때문임.(순번)

 

부동산 투자 전략은 '시기'에 맞는 것이 있고 '유행'을 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