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15. 20:37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지금 전세가율이 50% 밖에 안 됨.
1억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갭을 끼고 사려고 함.
그러면 최대 매매가 2억짜리임.
2억 아파트 입지나 상품성이 많이 떨어질 것임.(하위 20%).
'갭투자'가 유리한 시기가 있고 아닌 '시기'도 있음.
지금은 불리함.
과거에는 전세가율이 80~90%였고 10%만 있으면 대출 없이 살 수 있었음.
전세가율이 높아서 매매가도 끌어올렸고 소액이고 개수가 제한이 없었음.
전세가율.
개수 제한.
취득세.
임대차 3 법(4년).
전세가율이 왜 낮아졌을까? '금리'와 과거 상승장에 따른 '공급'
그리고 정책적인 '개수 제한'.
갭투자가 유리한 상황이 올 수 있을까?
금리, 입주물량, 정책.
'금리'는 통제할 수 없음.
'입주 물량'도 통제할 수 없고 답이 나와있음.
'정책'은 알 수가 없음.
하지만 '방향성'은 알 수 있음.
밑도 끝도 없이 '갭'으로 사려는 것은 힘듦.
완벽한 상황이 오기까지 기다려서는 안 됨.
언제 올지 모르기 때문임.
투자는 '갭투자'만 있는 것이 아님.
실거주가 가능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이 가능하다면? 갭투자를 할 이유가 없음.
낮은 금리로 대출을 일으켜서 가는 것이 나음.
(전세가율보다 한도(70~80%)가 높음.)
지금은 '갭투자'를 하기보다 미리 사둬야 함.(대출을 이용해서 월세 세팅)
'이자'가 '월세'보다 높아도(2년 치) 시세가 오르면 이득이 될 수 있음.
- 계속 기다리는 것이 '능사'는 아님.
'분양권 투자'도 고려해 볼 수 있음.('취득세'도 들어가지 않음.)
그다음은 '재건축/재개발'.
그런데 취득세 때문에 재건축은 높으니 '재개발'을 노릴 수도 있음.
그리고 '수익형 부동산'의 '최고봉'은 '빌딩'임.
작년 4분기보다 거래량이 아파트는 올라감.
하지만 빌딩은 더 내려감.
왜 그럴까?
'빌딩 시장'은 아파트 다음 올랐기 때문임.(순번)
부동산 투자 전략은 '시기'에 맞는 것이 있고 '유행'을 탐.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병찬의 부자병법] 지식산업센터 미래 전망은? (0) | 2023.05.16 |
---|---|
[부룡의 부지런TV] 월세 살면서 투자, 이것만 꼭 놓치지 마세요 (0) | 2023.05.15 |
[부동산김사부TV] 전세가 사라진다! 한국 부동산의 미래는? (0) | 2023.05.15 |
[피터 린치] 주식 투자 간단한 성공 조언 (0) | 2023.05.15 |
[부동산김사부TV] GTX 호재로 올랐던 아파트 폭락, 이제 시작?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