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9. 14:1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Q. 시드머니가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팔고 싶을 때 팔지 말고 사고 싶을 때 사지 마라!'
의사결정이 조급해서 하는 것인지 여러 시나리오를 세워놓고
기계적으로 매매를 하는 것인지 봐야 함.
전 사이클에서 공부했으면 현재 상황과 비교해서 살 수 있어야 함.
(현재 상황에 지면 안됨.)
시드를 모아서 하는 것이 좋을까?
시드를 모으는 것은 중요하지 않음.
시드를 모으라고 하는 것은 부자들이 사다리를 치우는 것 같음.
'그때까지 투자하지 마!' 자신들은 함.
크면 하고 작으면 왜 못할까요?
많고 적음은 중요한 것이 아님, 능력의 범위와
재미있고 '달인'이 되었다면 투자해도 됨.
시드가 크다고 투자하는 것도 아님.
시드를 모으는 중에서는 공부를 해야 함.
Q. 재무제표를 꼭 읽어야 할까요?
재무제표 읽는 것이 재미없다면? 안 하면 됨.
저는 탐정 놀이하는 것 같아서 재미있음.
재테크뿐만 아니라 '재미'가 있어야 함.
학교/직장 생활 재미있어야 하고 가족과 시간 행복해야 됨.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 시간을 잘 쓰는 것이 중요함.
돈을 벌기 위해서 좋은 것을 뒷전으로 한다?
직접 주식 투자를 안 해도 됨.
자신의 일이 가치 있다고 다른 사람에게 맡겨도 됨.
집안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듯이.
Q. 계좌가 백화점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자들은 분산투자를 하지 않는다?
저는 의미 있는 주식이 3개고 총주식은 6개임.
10~20개만 투자해도 상관이 없음.
부자분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을까? 인생 2 종목에
'적절한 레버리지'와 '불타기'로 '부자'가 된 것임.
부자가 된 다음 100 종목을 해야 되는 것임.
Q. 좋은 기업인지 어떻게 알죠?
먼저 좋은 기업을 찾고 싼 지 비싼지 봐야 함.
'성장'하는 기업.(이익이 증가하는, 내 주머니에 들어오는 것.)
이익이 늘어나려면 매출이 늘거나 비용이 줄거나.
내 소득이 늘거나 지출이 줄거나.
Q. 경제적 해자란?
무형자산의 종류 : '브랜드'와 '규제'(정부의 허가.)
정부의 권한을 준 경제적 해자는 바뀔 수 있음.
하지만 그 외에는 잘 바뀌지 않음.
'비즈니스 모델'이 타고나듯이 그것으로 인해 '경제적 해자'가 결정됨.
경제적 해자가 깨진 거었다고 시장이 의심할 때 부자하면 됨.(그저 공포임.)
잘 망하지 않고 다시 살아남.
Q. 투자를 위한 훈련 방법.
일신우일신.
실수를 통해 투자 패턴을 바로잡고 같은 실수를 하면 안 됨.
주식 투자에서 빠르게 될 수 있는 '길'은 없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스트릿] 주식 투자 실패에서 배운 중요한 (과신은 금물) (0) | 2023.03.19 |
---|---|
[김작가TV] 주식 투자로 돈 버는 사람과 돈 잃는 사람 (전업투자자 선진짱) (0) | 2023.03.19 |
[북극성주TV] 집값 바닥? 바닥 밑에 지하가 있다고 하는 이유 (원희룡 국토부장관) (0) | 2023.03.19 |
[김작가TV] 대부분 사람들이 주식 투자로 돈 잃는 이유 (최준철) (0) | 2023.03.18 |
[김작가TV] 월 1억 버는 전업투자자의 주식 투자 철학 (김정수 전업투자자)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