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9. 13:4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집값 바닥 아직 이르다, 바닥 밑에 지하 있을 수도.'
Q. 부동산 바닥설 어떻게 생각하나요?
A. (원희룡 장관) 바닥이라고 하기에는 이름.
우선 미국의 물가와 금리가 아직 확정이 안됨.
- 지금 현재 집값 하락 영향은 물가와 금리라는 말이고
아직도 불확실하게 보고 있다는 것임.(정부의 입장.)
저 바닥 밑에 지하가 있을 수 있음.
그런데 '이게 아니다!'라는 것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어떻게 국가에서 우리가 '바닥이다!' 하는 순간 집 사라는
이야기인데 그런 사인은 줄 수 없음.
ㅇ 원희룡 장관 발언 배경.
- 집값 바닥론 경계.
정부는 집값 바닥론에 대해서 경계를 하고 있고 섣불리 말할 수 없음.
정책으로 인해서 커버할 수 없다는 것을 자인하는 것임.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무엇을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
또 바닥이라고 했다가 금리와 물가 때문에 떨어지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할까요?
하물며 정부는 집값이 고점이다 바닥이다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조율'하는 기관임.
-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 재확인.
'부동산 연착륙 유도'하는 기조를 유지하는 한 '바닥이다!'라는 반대로 말할 것임.
- 국가에서 '바닥이다!'라고 하는 신호는?
진짜 바닥이면 바닥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바닥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국가에서도 바닥이라는 신호가 있을지 없을지는 모름.
어떤 신호일까요?
굳이 따진다면 '정책 기조 변화'임.
규제 완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연착륙 유도'라는 말이 사라지는 시점.
과거에는 '저금리'와 '유동성' 때문에 오른다고 했지만 지금은 그 문구를 찾을 수 없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작가TV] 주식 투자로 돈 버는 사람과 돈 잃는 사람 (전업투자자 선진짱) (0) | 2023.03.19 |
---|---|
[와이스트릿] 돈없고 마음 급한 사람들을 위한 주식투자 조언 (김현준) (0) | 2023.03.19 |
[김작가TV] 대부분 사람들이 주식 투자로 돈 잃는 이유 (최준철) (0) | 2023.03.18 |
[김작가TV] 월 1억 버는 전업투자자의 주식 투자 철학 (김정수 전업투자자) (0) | 2023.03.17 |
[머니인사이드] 철저히 의도한 경기 침체, 모두가 가난해집니다 (김광석 실장)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