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11. 14:4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JcoGMegEreA&t=629s
ㅇ 전세가율 11년 만에 최저.(KB 기준.)
'전세가율 11년 만에 최저... '전셋값 급락, 집 값 더 끌어내릴 것.'
< 2012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
* 전세가율은 상승장에 비례한다? X.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2013년부터 서울 아파트 가격은 바닥을 찍고 상승함.
그 이후로 2016년 6월(75.1%)까지 올라감.
[2017년~2021년] 대략 < 4년 동안 > 급격하게 오름.
실제 전세가율이 정점을 찍었던 시점은 [2016년 6월] 임.
지역이든 단지든 전세가율만 보고는 판단하면 안 됨.
전세가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갭투자가 용이함.
정점에 갈수록 갭투자가 가능한 '수요'가 증가함.
전세가율은 불쏘시개 역할을 할 뿐임.
전세가율이 떨어져도 가격이 올라갈 수 있음.
전세가율이 올라가는 것은 '입주 물량'이 떨어질 때 나타남.
[입주 물량이 적은 상태]에서 [재고 물량]도 줄어듦.
'상승을 할 때 보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지기 때문임.
공급 대비 수요가 많아져서 상승할 수밖에 없음.
'입주 물량'도 없고 '재고 물량'도 없으면?
전세로 살고 싶다고 하더라도 물건이 없으니 가격을 올려줘야 함.
+ 저금리 요건(유동성.) - 소액 투자자의 진입이 커져서 급상승 가능.
목동, 관악구, 금천구 실투자금 기준 1,000~3,000만 원도 가능했었음.
ㅇ 전셋값 상승 원인 정리.
- 상승장에서 갭투자자 증가. > 지금은 하락장에 갭투자자가 없음.
(실투자금을 줄이기 위해서 공급물량(신규/재고) 적은 지역으로 들어감.)
- 입주물량 감소. > 지역별로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일수록 하락폭이 큼.(관심 지역 CHECK)
(전세 가격은 '실수요' 중심이고 입주 물량은 전세가격에 영향을 줌.)
- 전세대출 이자 감소. > 기준 금리 -> 채권금리 -> 대출 이자.(연동).
이자는 감소하는 추세며 하락폭이 줄어들 것임.
그리고 매매가격이 다시 상승하면? '전세가율'이 회복될 것임.
전세 대출 이자가 감소하면 (반)월세 수요가 다시 이전될 것임.
(전세 대출 이자가 낮을수록 큰돈을 끌어 쓸 수 있음.)
ㅇ 지금은 하락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하락할까요?
상승의 원인을 뒤집어서 살펴본다면
'시점'을 알 수는 없지만 '흐름'을 알 수는 있을 것임.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랭이TV] 부동산 투자, 이 고통은 빨리 안 끝납니다,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부동산김사부) (0) | 2023.02.11 |
---|---|
[김작가TV] 김영익 교수가 말하는 2023년 주식 투자 방향 (0) | 2023.02.11 |
[조던 피터슨] 자기 자신에 대해서 겸허하게 돌아보세요 (0) | 2023.02.10 |
[와이스트릿] 살아있는 전설, 찰리 멍거로 부터 배우는 투자 철학 (찰리멍거 바이블) (0) | 2023.02.10 |
[주독TV] 부자가 되려면 꼭 알아야할 '이것' (투자 방법)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