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북극성주TV] 앞으로 10년 부자의 줄에 서는 방법

NASH INVESTMENT 2022. 9. 1. 13:21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WmizgtD9BxY 

< 부의 시나리오. >

금리 인상으로 물가를 잡는다.

물가가 하락하면서 금리도 인하한다.

금리 인하에도 경제가 회복되지 못한다.

유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된다.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자를 한다.

경제가 회복되면서 금리가 인상된다.

현금을 활용한 적극적 투자를 한다.

드디어 부자의 대열에 합류한다.

현재 분위기는 물가 상승 정점입니다.

결국 경제 성장에 따른 것이 아닌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 인상을 하는 겁니다.

가장 큰 리스크는 인상 속도와 폭입니다.

한번 급격한 인상의 폭이 되면 후유증이 나타나죠.

이런 부분에 있어서 인지를 해야 합니다.

물가 상승의 정점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만

물가가 얼마큼 빠른 속도로 잡힐지 안정될지는

이야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둔화시킬 수는 있지만 알 순 없습니다.

만약에 연준에 노력에 의해서 또는 금리가 인상돼서

물가가 잡힌다면?

기준 금리를 계속 올릴 수 없습니다.

경제 성장을 위해 인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경제가 안 좋은 상태에서 계속 올리면 중산층이 사라지며

경제가 후퇴할 것입니다.

어떻게 서든 물가를 빨리 잡고 금리를 돌려놓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금리 인하돼도 경제가 회복되지 못한다면?

그러면 금리를 더 인하해야 합니다.

기준 금리가 다시 1% 미만까지 내려간다면?

경제 회복 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방증입니다.

그러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기존에 경험했기 때문에 부동산 심리가 되살아납니다.

중요한 것은 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동성이 풍부해진다면 빠른 속도로 흡수될 것입니다.

다른 곳에 유입은 크지 않죠.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에 의한 후유증으로 경기가

회복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시장 자체가 위축이 된다면 선뜻 설비 투자 등 할 수 없죠.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에 투자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바닥일 겁니다.

이런 식으로 가는 것은 비정상적이지만 돈이 

모이는 곳이 없기 때문에 모일 것입니다.

그러면 레버리지를 활용한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합니다.

버블에 대한 부분은 존재하지만 하루아침에 꺼지는 것이 아닙니다.

일정 부분에서 경제 시그널이 주어집니다.

현재는 시그널로 보면 리스크가 있는 상태입니다.

시나리오대로 단계가 왔다면 레버리지를 등에 업고

퀀텀 점프할 수 있습니다.

경제가 회복되면서 금리가 인상된다?

미국 같은 경우는 2019년 이후.

그때는 유동성 제어가 안된 상태에서 고용이 증가하고

경기가 회복되어서 코로나 확진세가 줄어들면서 소비를 장려했죠.

보복 소비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코로나 상황이라는 변수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날 것은 크지 않습니다.

경기가 회복되면 금리 인상할 수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가격은 많이 상승했었을 겁니다.

현금을 활용한 적극적 투자.

앞으로 공급이 부족하지만 수요가 많이 증가할 투자.

거기에 맞는 적극적 투자가 가능한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현금 활용한 투자까지 이어진다면 비로소

10년 안에 부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충분히 레버리지 활용한 투자,

현금을 활용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쓰면서

여러분이 생각하는 목표 자산 이상으로 증식될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부자의 기준? >

상위 부자 설문조사 결과 순자산 100억 이상?

제가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은 돈만 있다면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면 거기에 필요한 돈.

먹고살고 노후에 대한 걱정도 없죠.

자선 사업도 가능합니다.

그 정도 된다면 부자의 기준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퀀텀 점프하거나 꼬마 빌딩 살 수 있는 자산은?

10억 이상만 있다면 꼬마 빌딩을 포함해서

접근할 수 있는 물건이 많습니다.

상대적으로 하락장이 되면 대출 규제는 완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기회는 더 많아질 것입니다.

부의 시나리오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

이런 흐름을 보고 스텝을 밟겠다고 쓴 것입니다.

똑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패턴이 나타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