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14. 11:0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_DjvAeau_xE&t=348s
영화배우 짐 캐리는 무명배우 시절부터 자기 자신이 쓴 수표를 넣고 다녔답니다.
몇 년 몇 월까지 짐 캐리에게 1,000억을 지불한다.
그랬더니 그 꿈대로 1,000억을 벌 수 있는 일이 벌어졌죠.
큰 꿈과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나아가면 현실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구체적인 꿈을 꾸죠.
어떤 부동산을 가질 것이고 몇 년 안에 어디서 살 거며 얼마의 돈을 벌 거며.
부동산에서는 그런 목표는 부자로 절대 되지 못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예일대학교 심리학 교수가 이런 실험을 했습니다.
미국 육군사관학교 후보생 1만 명을 14년에 걸쳐 조사를 했죠.
어떤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지원 동기와 꿈과 그 실현성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였죠.
외형적인 성취동기기가 강한 사람과 그렇지 않고 그냥 군대가 좋아서
지원한 사람들을 분리했습니다.
14년 후 어떤 부류가 더 많이 장교가 되었을까를 보았죠.
아무 생각 없던 사람이 강한 동기가 있는 사람보다 무려 1.5배의
성취도를 올렸다는 사실이 밝혀였습니다.
이것은 꿈과 목표를 크게 세우고 구체적일수록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상식을 뒤엎는 연구결과입니다.
부를 성취하는 것에도 매우 의미 있게 받아들여야 할 내용입니다.
목표의 개념을 외형적인 성취와 내적 동기로 분리해서 연구한 것입니다.
목표가 외형적인 성취일 경우 성공가 오히려 더 멀어지죠.
부에 있어서는 아주 의미가 있습니다.
부는 소수에 속하는 겁니다.
진정한 정의죠.
이것은 수의 개념이고 의미적 개념은 '여유로운 삶'을 누리는 것입니다.
부를 목표로 삼는 사람들은 여유 있는 삶을 목표로 삼지 않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몇 년 내에 어디 어디에 살겠다, 얼마를 벌겠다.
이런 목표는 부의 목표가 절대 될 수가 없습니다.
부의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외형적인 목표는 진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도록 만들 요소로 작용할 수 없습니다.
1. 우리를 더 빨리 지치게 만들기 때문.
장교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장교로 멀어진 결과,
배가 고픈데 음식 나오는 것을 기다리는데
그 배고픔을 잊어버리기 위해서 유튜브를 보든지
전화를 하든지 기다리는 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보낼 수 있죠.
만약에 음식이 나오는 것을 간절히 바라면서 시간을 바라본다면?
이렇게 외형적인 집착하게 되면 피로도가 높아집니다.
짐 캐리 이야기요?
수표 넣고 다니는 할리우드 거지들 많습니다.
짐 캐리 한 명만 되었습니다.
2. 매우 위험산 상황에 쉽게 놓이기 때문.
목표에 집착할수록 귀도 얇아집니다.
유혹에 넘어가기 쉬워지죠.
돈의 세계는 사기꾼들이 우글우글거리는 곳입니다.
무리한 선택, 대출, 행동 등등을 하게 됩니다.
3. 이룬다고 해도 행복하지 않기 때문.
목표가 아니라 외형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부의 개념을 잘못 알고 있죠.
성향 자체가 변하기 않기 때문에 또 외형에 집착하게 됩니다.
성취를 해보았자 또 다른 외형에 끊임없이 집착하게 되죠.
만족은 더 멀리가고 내 삶은 피폐해집니다.
부의 본질과는 매우 거리가 먼 삶이죠.
이렇게 되면 현실 불만족만 남게 됩니다.
목표를 설정하되 외형적인 목표를 세우면 안 됩니다.
본질에 가까운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그냥 여유로운 삶을 꿈꾸면 됩니다.
작은 여유로운 삶에 행복해하고 노력하다 보니까
강남 60평에 살고 있네? 이렇게 되어야 합니다.
여유로운 삶을 향한 끊임없이 투자에 정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김사부TV] 1기 신도시 재건축 될까요?(대담한 발상과 향후 가격) (0) | 2022.05.14 |
---|---|
[부동산김사부TV] 부동산 공부 하기 싫을 때 꼭 보세요 (0) | 2022.05.14 |
[부동산김사부TV] 지금 부동산 투자 이렇게만 안하면 됩니다 (0) | 2022.05.13 |
[부동산김사부TV] 부동산 투자, 지금은 단기 조정 국면이다 (0) | 2022.05.13 |
[박병찬 - 부자병법] 다주택자 양도세 개편 3가지(윤석열 정부 첫 부동산 정책)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