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상승시 취하는 행동 2가지 - 확률게임('불확실성'과 '리스크')
2022. 4. 12. 10:03ㆍ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나의 인사이트
반응형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대개 2가지 행동을 한다.
1. 하락할 때까지 기다린다.
- 과거 가격을 기억하며 저 가격은 있을 수 없다.
2. 오르는 것을 따라 산다.
- 이러다 못 사겠는데? 지금이라도 사자.
이 두 가지 행동이 나뉘는 이유는
각자가 상승과 하락에 베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은 '공급'을 유심히 보면
'리스크'를 일정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급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의 부동산 투자는 하방 경직이 강하다.
그리고 부동산은 필수재라는 특성과 공급 시차가 길어서
불확실성이 리스크로 전환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
주식과 비트코인 등에 비해서 변동성이 낮은 이유이기도 하다.
(리스크는 발생 확률과 얼마나 잃을지를 계산할 수 있고
불확실성은 발생 확률과 얼마나 잃을지를 계산하지 못하는 것이다.)
결국 '확률' 게임이라는 투자 게임 룰을 따른다면
상승 확률이 더 높기에 2번을 택하는 것이 맞다.
다만,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대출, 세제 범위 내에서 행한다면 말이다.
반응형
'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 > 나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 거래량이 바닥인데 가격은 상승한다? (0) | 2022.04.12 |
---|---|
'토지거래허가제(거래금지책)'의 허와 실(항상 수요와 공급 양측에서 생각하자) (0) | 2022.04.12 |
부동산의 좋은 '정치'적인 수가 '경제'적인 수는 아니다 (0) | 2022.04.12 |
[투자병법] 병형상수, 투자는 물처럼(부동산 투자, 수도권만 집중하지마라) (0) | 2022.04.11 |
[투자병법] 부동산 투자시 과거 수익냈던 투자 방법을 고집하지 마라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