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병법] 부동산 투자시 '우직지계'를 알아야 잃지 않는다
2022. 4. 11. 13:22ㆍ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나의 인사이트
반응형
과거에는 대부분 전쟁사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현재는 총칼만 없을 뿐, 무한 경쟁의 전쟁사와 다름없다.
목숨만 부지할 뿐 상대성 게임인 자본주의에서는 강해져야 살아남을 수 있다.
- '투자'에서는 당신은 '장수'이고 자본은 '병사', 상대는 '시장'이다.
그러기에 시대를 관통하는 '병법서'를 보고 공부할 필요가 있다.
그중 단연 최고의 병법서는 '손자병법'이다.
- 손자병법은 오직 승리에만 국한되지 않고 지지 않는 것에도 집중을 했다.
先知迂直之計者勝(선지우직지계자승)
此軍爭之法也(차군쟁지법야)
'우직지계를 먼저 아는 사람이 승리하는 것이니
이것은 군쟁의 방법인 것이다.'
부동산 투자에서는 '우직지계',
즉 '느리더라도 돌아가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부동산 자체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무거운 것이기 때문에 급등 자체를 바라면 안 된다.
(호재와 정책적 테마주를 좇아 상황이 바뀌면 매도가 어려워질 수 있다.)
오히려 급등을 바라는 심리가 의사결정을 왜곡시키는
감정으로 변질되어 돈을 크게 잃을 수 있다.
자신이 상승에 베팅을 했다면 진득하게 기다려야 한다.
투자라는 것은 시간을 내편으로 만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리'의 효과를 누리는 것이다.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절대로 빠르게 부자가 되고자 하는 마음만 없다면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할 것이다.
반응형
'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 > 나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병법] 부동산 투자시 '심리'가 중요하다 (0) | 2022.04.11 |
---|---|
[투자병법] 부동산 투자시 완벽을 추구해서 시장 사이클을 놓치면 안된다 (0) | 2022.04.11 |
[투자병법] 시장을 알고 나를 알면 잃지 않는 부동산 투자가 가능하다 (0) | 2022.04.11 |
[투자병법] 부동산 수요가 몰린 곳 말고 '빈틈'으로 투자해라 (0) | 2022.04.11 |
[투자병법] 부동산 투자 정공법과 더불어 '기공법'도 중요하다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