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천루의 저주란?

2025. 4. 7. 09:39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마천루의 저주'는 초고층 빌딩 건설 붐이 일어난 후 경제 위기가 발생한다는 경험적 가설입니다. 1999년 도이체방크의 분석가 앤드루 로런스100년간의 건설업계 사례를 분석하여 주장했습니다.

마천루의 저주 사례

  • 1930년대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완공 무렵 대공황 발발
  • 1970년대 미국 세계무역센터, 시카고 윌리스타워: 완공 후 오일 쇼크 발생
  • 1985년 한국 63빌딩: 시공사인 신동아그룹 외환 위기 이후 파산
  • 2009년 아랍에미리트 부르즈 칼리파: 완공 직전 두바이 월드 채무불이행 선언
  • 2017년 대한민국 롯데월드타워: 완공 이후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설

말레이시아, 대만 사례

  • 말레이시아: 1998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완공 직후 아시아 외환 위기 발생
  • 대만: 2004년 타이베이 101 완공 직후 경기 침체

마천루의 저주 원인

  • 초고층 빌딩 건설에는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므로, 기업의 부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초고층 빌딩이 완공될 때쯤에는 경기 과열이 사라지고 불황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마천루의 저주에 대한 비판

  • 마천루 건설과 경제 위기 사이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 경제 위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마천루 건설은 그중 하나일 뿐입니다.

마천루의 저주는 흥미로운 가설이지만, 맹신하기보다는 다양한 경제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