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계란, 빵, 한우가 비싼 이유? 자장면 가격이 오른 이유?

2025. 4. 2. 10:50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빵]

세계적인 대도시와 비교해보았을 때도 빵 가격이 비싼편.

(뉴욕 > 서울 > 파리 > 런던 > 베이징 > 도쿄)

밀가루가 저렴했기 때문에 빵을 팔던 성심당.

(1960년대에 밀을 미국이 무상 지원)

그러나 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탄생함.

공장에서 만드는 양산빵이 위주였었지만 갓 구운 베이커리 빵이 침투(고급화 전략).

점포 수도 빠르게 늘어남.

베이커리 전문점 비율이 70%가 넘어감.

(일본은 양산빵 50%)

빵이 주식이거나 문화가 깊숙하게 뿌리 박힌 나라는 양산빵 비중이 높음.

(주식이기 때문에 저렴해야함)

양산빵, 베이커리 빵 양분화되는 구조.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는 전국에서 동시에 생산하고 판매가 목표.

우리나라 사람들은 빵을 생각보다 많이 먹지도 않음.

식사가 아니고 가나식이기 때문에 가격에 민감하지 않음.

(달달한 빵에 대한 선호가 더 높음)

좋은 재료(프랑스산 버터, 밀가루 등)에 대한 수요도 높아짐.

일본과 우리나라는 비슷한 농업 환경에 주재료는 수입, 인건비도 비슷하지만

양산빵 점유율 차이로 빵 가격의 차이가 나버림.

30년간 소득이 급격하게 늘면서 베이커리 빵의 인기도 높아짐.

= 사람들이 많이 먹지도 않고 양산빵 비중이 낮아서 베이커리 빵이 표준이 되어버린 것.

 

[계란]

글로벌 적으로 계란난을 겪는 이유는 조류 인플루엔자(공급 파질).

그런데 닭고기 가격은 폭등을 하지 않음.

이유는 생산 주기의 차이.

우리는 보통 10호 닭을 씀(1kg, 병아리에서 한달이 걸림)

미국은 2.7kg 닭을 쓰는데 42일이 걸림.

닭을 대거 살처분해도 우리나라는 30일만 기다리면 생산이 가능.

닭이 산란을 하려면 150정도 커야됨.

또 다른 원인은 계란은 대체재(수요 분산)가 없다는 것.

 

[한우]

수입 소고기들은 방목형이나 공장형(생산 고효율)으로 축산해버림.

(사료값도 저렴해서 싸게 공급이 가능)

우리나라는 축산 농가는 영세했고 수입 사료를 먹이고 1년에 1번 새끼를 낳음.

정부에서 지원금을 풀고 사육수도 크게 향상.

그리고 고급화 전략(가격으로 안되니까 품질로).

ex) 옆나라 일본의 와규를 통한 고급화

근육 내 지방(마블링, 부드러운 육질).

미국 : 프라임, 초이스 등급을 한국에서는 1등급, 2등급, 3등급.

(소비자들이 더 영롱한 마블링을 원해서 1등급 비율이 높아짐(1+, 1++도 생김)

(사육기간이 길수록 마블링이 좋아짐)

 

[자장면]

주방장, 조리장, 면판, 칼판, 튀김 담당 등 사람이 필요하지만

고급스러운 이미지(일식, 양식)는 아니라서 비싸게 팔지도 못함.

(최저임금도 오르고 노동강도도 강한 편, 배달기사 월급이 많이 올라 비례해서 상승)

그러면 주방 인건비를 줄여야함.

가격을 올려야할 때 못 올리고 인건비와 재료비의 상승 영향.

 

외식 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도 불만이지만 지갑을 열지 않으니 사장님도 불만.

가격 = 재료비, 인건비, 수요와 생산조건, 사회현상의 결합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