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일본 기업에 투자한 해외 투자자들이 보통 가장 원하는 것?
2025. 2. 12. 13:4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다른 일본 기업들처럼 부동산 부자인 후지 미디어.
도쿄 오테마치 금융 지구에 위치한 오피스 타워를 비롯한
부동산 자산과 여러 일본 상장기업의 주식을 보유.
미디어와 부동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영업이익 절반이 부동산에서 나옴.
일본 기업에 투자한 해외 투자자들이 보통 가장 원하는 것? 부동산 매각.
(해외 활동주의 자본이 지분을 사들이고 요구)
수많은 해외 펀드가 일본 기업을 인수하자마자 하는 행동.
2023년 6,700억 엔에 히타치 운송을 사들인 KKR은 히타치 운송의 창고는 2,000억 엔에 매각.
2020년 쇼와 비행기 공업을 900억엔에 인수한 베인 캐피털은 1,300억 엔에 사측의 골프장 리조트 매각.
1. 자원 효율적 배분 2. 단기 주가 부양 3. 엑싯.
(일본 기업들은 역사적으로 현금이나 부동산을 높이는 경향이 있음)
일본 기업은 사측의 부동산을 경기 악화의 완충재로 보거나 인력 감축을 피할 방법으로 봄.
(버블 당시 부동산도 폭락했지만 여전히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 = 가문의 유산)
=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안 팔겠다!
장부가 대비 무조건 이득이니 팔기만 하면 남음(부동산 미실현 이익만 최소 200조 원).
(시장가치 기준 > 장부강가액 기준)
장부상 감가상각되었지만 훨씬 더 높음.
(엄청난 수익 = 행동주의 펀드의 허니 스폿)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병찬] 집값 대폭락 vs 대폭등 (내집마련 포기하신 분! 필수 시청!) (0) | 2025.02.12 |
---|---|
[슈카월드]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와 '가상 자산'의 도전을 받고 있다? (0) | 2025.02.12 |
[당신이몰랐던이야기] 대한민국 부와 성공의 상징 : 강남 (발전의 역사) (0) | 2025.02.12 |
[채부심] 총 생애 소득의 13%가 날아가는 이유 (0) | 2025.02.12 |
[제미나이]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이란 무엇일까?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