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7. 14:4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이 주식 올라가네 저 주식 올라가네 하면서
대부분은 모멘텀 성장 주식에 투자를 함.
(+ 변동성이 큰)
'자산'을 모으려면 길게 투자하고 위험한 주식도 가지면서 리스크-테이킹이 필요.
(단타 매매보다는 길게 보는 투자)
보수적인 투자.
한국분들은 공격적인 투자자가 많음.
(야수의 심장)
다음 3~5년 후에 뭐가 잘될 것을 보는 것.
버블은 어디서 멈출까? 원자재, 인프라, 반세계화 등.
주식은 역사적으로 보면 비쌈.
무조건 성공이라는 것이 중요하면?
'욕심'이 있어야 함.
(열정, 기회를 찾는 돈냄새를 맡는 코)
매일 리스크 테이킹도 안 좋음.
(대박이 난 사람도 있지만 쪽박 차는 사람도 있음)
무조건 사야 되는 것이 투자는 아님.
빨리빨리 하는 것이 아님.
(자신의 일을 하면서 기회를 찾도록 인내심)
열정이 있어야 포기 안 하고 끝까지 갈 수 있음.
누구나에게 3번의 기회는 옴.
(그 기회를 위해서 노력해야 함)
미국은 메이저리그(=전 세계 가장 뛰어난 사람이 모인 곳)
투자만 잘해서는 안됨.
퀀트라는 콘셉트가 1990년대 등장.
(컴퓨터 파도)
미국 사회에서는 백인 우월주의.
한국도 아는 사람이 아는 사람을 믿음
(비즈니스 = 관계)
기회를 달라고 어필을 하는 것이 중요.
교육 + 다양한 성격 등.
젊었을 때는 기술적, 분석적이어야 하고
올라갈수록 관계형성능력, 창의성, 문제해결능력이 필요.
JP 모건이 '신용파생상품시장'을 만들었음.
그때 리스크를 하고 있었는데 신용파생상품 시장이 커지니까 트레이더 만들어주겠다고 함.
이 시장이 엄청난 기회라는 것을 볼 수 있었어야 함.
(멘토십)
어릴 때 실패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
(실패를 소화)
실패, 성공, 끈질김, 결심 등.
(울타리 안에서 키우면 안 됨)
역사를 보면 나라들이 유대인을 공격해 왔음.
어디 가든 '돈'을 꽉 잡고 있었기 때문임.
('교육'으로 전수함)
호기심(+열정).
궁금증이 고양이를 죽였다?
위험하지 않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월가월부] 트랙터 만들던 회사가 슈퍼카를? (람보르기니) (0) | 2025.02.07 |
---|---|
[어바웃 뉴욕] 혁신의 아이콘에서 파산 위기 처한 위워크 (0) | 2025.02.07 |
[어바웃 뉴욕]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페이팔 마피아가 설립한 기업 팔란티어 (0) | 2025.02.07 |
[어바웃 뉴욕] 미국 인프라 투자의 대표적인 수혜주 캐터필러 (0) | 2025.02.07 |
[어바웃 뉴욕] 예티와 스탠리 텀블러, 24시간 뒤에 얼음 확인해보니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