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12292)
-
[짐 론] 현명하게 목표를 구하세요, 어른처럼 설계하고 아이처럼 믿으세요
현명하게 목표를 구하세요. 현명한 목표는 얼마나 크고 넓은지 무엇을, 언제 어떤 색이고 그리고 얼마를 원하는지를 말합니다. 원하는 것을 세밀하게 정하고 정확하게 묘사하세요. 정확한 목표들은 자석과 같아서 당신을 끌어당길 겁니다. 정확할수록 더 끌어당겨집니다. 그리고 믿으세요. 반드시 가질 수 있다고요. 아이 같이요. 다시 설명하자면 어른처럼 설계하고 아이처럼 믿으세요. 이렇게 목표에 다가가면 부와 행복을 동시에 거머쥘 것입니다.
2022.02.15 -
[밥 프록터] 현실보다 먼저 바꿔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현실보다 먼저 바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최고의 건축학자가 이렇게 말했죠. "무언가를 바꿀 때는 절대 현실의 것과 싸우려 들지마라." 현실을 먼저 바꾸려 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바꾸고 싶다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서 현실의 것을 구식으로 만들어라." 어떻게 하냐고요? 당신의 상상 속에서요. 필요한 것은 오직 이루겠다는 '의지'입니다. '의지'하나로 모든 목표는 이루어집니다. 조금 다르게 설명해볼게요. 여기에 A라는 목표가 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아니죠. 단순 반복되는 것을 원하진 않으니까요. 그렇게 성장해서 우리는 B라는 목표를 원하죠. 우리의 생각에 충분히 가능할 것 같은 목표죠. 구미가 당기지 않죠. 그렇기에 우리는 더 큰 것을 원해야 합니다. 더 크게 생각해서 과연 우리가 성취할 수 있는 것..
2022.02.15 -
[짐 론] 행동하세요, 그저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겁니다
행동하세요. 행동으로 옮기는 겁니다. 당신의 생각을요. 예수님도 말했습니다. "그저 듣는 자가 되지 말고 행동하는 사람이 되어라." 세상은 행동하는 자에게 더 크게 베풉니다. 벤자민 백작은 말했죠. "인간의 의지는 그 무엇도 꺾을 수 없다." 산을 오르려 한다 가정해보세요. 사람들은 그 산이 너무 높고 길고, 돌도 많아서 누구도 갈 수 없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산이 제 목표라면 전 행동할 겁니다. 그리고 곧 모두가 볼 것입니다. 정상에서 손 흔드는 저를요. 혹은 죽은 저를요. 포기하고 돌아올 생각은 없으니까요.
2022.02.15 -
[짐 론] 모험 가득한 30년이 안전을 추구하는 100년보다 값집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일에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당신이 태어날 때도 리스크가 있었죠. 사업도 투자도 모든 것이 위험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안전만 추구하지 말고 모험을 추구하세요. 모험 가득한 30년이 구석에 박혀 안전을 추구하는 100년보다 값진 인생입니다. 즉,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합니다. 이렇게 시간을 보낸다면 5년, 10년 후 당신은 바라던 옷을 입고, 바라던 차를 끌며 원하는 곳에 살면서 원하는 일을 하고 있을 겁니다. 그러니 지금은 미래를 바꿀 시간입니다. 누가 바꿀 수 있죠? 바로 당신이요.
2022.02.15 -
연필에서 얻는 4가지 조언
제 아버지가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주머니에서 연필을 꺼내면서 하시는 말씀이 "문을 나서지 전에 알아야 할 것이 4가지가 있단다." "항상 기억하면 최고의 인생을 살 수 있을 거야." "첫 번째로 이 연필을 보렴." "너도 아시다시피 잘 써지는 연필이 되기 위해서는." "때때로 연필은 깎아져야 한단다." "연필이 깎일 때 얼마나 고통스럽겠니?" "하지만 그 고통은 연필에게는 필수적이지." "그리고 인생도 비슷해." "고된 시간들은 항상 찾아오는 거야." "하지만 그렇게 힘든 시간을 헤쳐나가면서." "너라는 사람이 만들어지고 성장하는 거란다." "두 번째는 네가 인생을 살아가며 실수를 하더라도." "그것들을 지울 기회가 온단다." "여기 이 지우개처럼 말이야."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이니까." "실수로 생각..
2022.02.15 -
[밥 프록터] 당신이 항상 똑같은 결과만 얻는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많은 돈을 원한다고 해봅시다. 이건 많은 돈입니다. 많은 돈을 원한다면 부유한 자신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정신적으로 수용을 먼저 해야 합니다. 내 은행 계좌가 돈을 당기는 것이 아닌 내가 정하는 겁니다. 자신이 이미 이룬 것을 볼 수 있어야 하며 그 주파수로 이동하며 여기서 문제는 그 주파수에 머물러 있는 겁니다. 대부분이 결과를 보며 그 결과가 주파수를 결정하게 놔둡니다. 그러니 매일 똑같은 결과죠. 이미 이루었다고 열심히 믿지만 누군가가 와서 "겨우 이것이 너의 결과야." 순간 당신의 마음이 일시적인 결과를 보며 곧 그들에 동조합니다. "네 말이 맞아, 겨우 이것뿐이네." 이제 왜 항상 같은 결과를 얻는지 알겠나요? 그 어떤 것도 창조되며 사라지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이미 존재합니다. 우..
202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