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13051)
-
[슈카월드] 대한민국, AI 인재 1만명 배출 목표
대한민국은 글로벌 AI 순위 6위의 강국.글로벌 최선두권인 미국과 중국을 따라가는 2위 그룹.개발 3위, 정부전략 4위, 인프라 6위인 반면인재 13위, 생태계 12위, 운영 환경 35위. 5천억 원 AI 펀드 신설 GPU 인프라 지원 규모 확대.민간 투자는 미국의 2%에 불과, 서울시는 육성을 위해 신규 조성 예정.서울 소재 대학과 연계, 청년취업사관학교(전 자치구에 설립).총 1만 명의 AI 인재 배출 목표. 서울시 캠퍼스 타운 - 대학별 창업 프로그램 유치.(자치구와 협력하여 대학별 다양한 창업프로그램과지역 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가의 꿈을 지원) 글로벌 기업, 대학, 연구기관과도 협업.서울이 인재와 기술이 교류하고 투자가 몰려드는'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로 도약하도록 지원. 양재동에 위치한..
2025.02.20 -
[슈카월드] AI 창업자, 인민의 영웅 되다.
트럼프 : 중국 기업의 AI 딥시크는 우리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렸다!우리는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더욱 집중해야한다! 2022년 네이처 인덱스에서 미국이 중국에 최초로 역전되는 일 발생.(사이언스지와 더불어 과학자들이면 누구나 논문을 올리고 싶어하는 저널) 중국이 숫자로 밀어붙이는 것 아닌가?상위 1%에서도 중국 연구가 미국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중국 > 미국 > 독일 > 영국 > 일본 > 프랑스 > 캐나다 > 대만민국 > 인도 > 스위스... 2023년 네이처인덱스 지수 상위 10대 기괸.중국과학원, 하버드, 막스 플랑크 연구소, 중국 베이징 공립대학, 중국과기대, 북경대,프랑스 국립과학 연구소, 난징대, 저장대, 칭화대, 서울대(59위). 2016년 시진핑 주석의 '과학 굴기' 선언.세계 AI ..
2025.02.20 -
[퍼플렉시티 딥리서치] 양자 컴퓨팅 상용화 전망과 수혜 산업 분석
현재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2025년 현재, 전문가들과 글로벌 IT 기업들은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 시점을 두고 첨예한 의견 대립을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유용한 양자컴퓨터 등장에 최소 30년 필요"하다는 회의적 전망을 제시한 반면, IBM과 마이크로소프트는 "2030년까지 상용화 가능"이라는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논쟁의 배경에는 양자 우월성 달성 여부와 양자 오류 수정 기술의 발전 속도가 자리잡고 있다. 본 보고서는 양자 컴퓨팅의 기술적 현황, 상용화 전망, 그리고 해당 기술이 본격화될 경우 주목해야 할 산업 분야와 수혜 기업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양자 컴퓨팅 기술 개발의 현재 단계양자 컴퓨팅의 ..
2025.02.20 -
[매경월가월부] 적자를 줄여야 미국이 생존한다!
적자를 줄여야 미국이 생존한다!정부가 적자 부담에 시달리다 못해 이제는 기업과 정부가누가 더 높은 금리를 주면서 자금을 땡겨오는지로 경쟁하는 지경. 재무장관 : 10년물 금리에 주목하고 있다! 머스크 : 경제가 화폐 공급량보다 더 빨리 성장한다면즉, 정부의 과도한 지출과 낭비를 막고 실제로 유용한 상품과서비스의 생산이 화폐 공급 증가를 초과하면 인플레는 발생하지 않는다!(그렇다고 사회복지비용(메디케어, 사회보장제도 등)은 절대 줄이지 않는다!) 우리가 적자를 통헤자미 못한다면 미국은 파산할 것이다!국가는 개인과 다르지 않다!개인이 과소비하듯이 국가도 마찬가지다!
2025.02.20 -
[언더스탠딩] 휴머노이드 옵티머스를 사용했을 때 이득은?
[휴머노이드 옵티버스 비용(3년)]구입비 20,000달러(1대 운영비용)전기료 1,12달러(시간당 1kW 소모, 연간 2,080 시간 노동)부품 교체(배터리 및 기타) 700달러.SW 업데이트 300달러.보험료 900달러.충전기 1,000달러.로봇 데이터 관리 인력 (20대 로봇 Cover) 18,000달러3년간 토탈 비용 40,023달러(시간당 비용 6.73달러)(미국 공장, 창고 노동자들의 평균 시급 18~19달러) 대량 생산(비용 낮추기)을 할 때 '수율(수익성)'이 관건.(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규격화'도 필요)ex) 전기차 VS 수소차에서 전기차가 이긴 이유는 규격화.
2025.02.20 -
판교가 활력을 잃은 이유
가장 큰 건 '인력'.실리콘밸리에서는 새벽까지 일하고 베네핏이 상당함.(판교도 초창기에는 마찬가지였음)어마어마한 자본을 유입하고 상장하는 기업.(회사도 자유롭게 옮기면서 밤을 새며 IPO를 도우면서 대박이 나는)대박이 날 수 있었던 기회.이제는 다 IPO는 되었고 AI 흐름 속에서 다양한 솔루션이등장하여 '개발자'들의 채용률이 떨어지고 있음. 과거에 10년전만 해도 게임사에 다니면 5~10억 버는 주니어가 많았음.게임 개발은 대형 엔진사들이 가지고 있어서 만드는데 있어서 부품처럼 제공.(인력이 많이 들지 않고 사후 서비스도 데이터/전산화 되어있음)캐릭터를 그리는 부분도 AI에서 리소스를 가져오고 있음.= 고용이 이루어지지 않음.(신규 직원 채용은 거의 없고 경력직 채용만 있음) 대량 해고가 발생하고 고용..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