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8. 14. 20:33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매크로 예측에는 관심이 없음.
'지식의 적은 무지가 아니라 안다는 착각임.'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함.
'모르는 것보다 안다는 착각이 무서움'.
세상에는 수십 억 명의 사람이 경제를 만들어 가고 있음.
그리고 수백만의 사업체와 정부, 모델링을 할 수가 없음.
* 이성적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심리 변화, 무작위성, 우연성 등.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옴.
샤람들에게는 '편향'이 있음.
미래에 대한 기대는 편향 때문에 망가짐.(확증 편향)
'인지 부조화'
자신의 생각과 상반되는 견해를 다루는 것.
'경제학자는 마치 시장 시세를 반영하지 않는
포트폴리오 매니저와 같음.'
모르거나 자신이 모르는 것을 모르거나 둘 중 하나임.
우리는 기업의 이익을 전망해야함.
하지만 매크로를 전망할 수는 없음.
'중립적 전망'이 필요함.(평균 회귀)
우리는 전망에 베팅하지 않음.
매크로 전망으로 부자가 된 사람은 많지 않음.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금리? 언제 얼마나 심하게 오래?'
이런 것들은 중요하지 않음.
알 수도 없음.
안다 해도 섣불리 실행할 수 없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높아질 회사에 투자하면 됨.
(펀더멘털)
'세상이 얼마나 불확실한지 사람들이 알게 된다면
그들은 아침에 이불에서 나오지 못할 것임.'
금리 인상 등 답을 알고 싶어 하는 질문은 있는데
'과연 그 질문에 답을 얻을 수 있는가?'와 '알면 어떻게 하겠는가?'는 없음.
정보는 '중요'하고 '알 수' 있어야 함.
'단기 트레이딩, 성과, 변동성' 등은 알 수 없음.
'자본의 영구적 손실 위험', '실적이 저조해질 리스크'만 알면 됨.
단기적인 것에 집중할 필요는 없음.
중요한 일에 '시간'을 쏟아야 함.(매크로 < 마이크로)
* 기업, 증권, 산업.
인덱스, 패시브, 알고리즘과 시스템 투자?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것 중 하나가 '도태'임.
저조한 성과에 높은 수수료를 받던 시대는 끝났음.(정보의 확대)
그간 액티브 성과가 너무 나빴음.(패시브를 투자하는 이유)
'AI'보다 잘할 수 있는 투자자는?
컴퓨터가 어떤 기업이 아마존이 될지 어떤 CEO가 스티브 잡스가 될지 모름.
어떤 종목이 상장폐지 될지를 모름.
'AI'는 미래지향적인 것을 처리할 수 없음.
(과거에 대해서는 가능.)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미국식 주주환원을 선언한 회사가 있다? (0) | 2023.08.14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세가지 원칙 (0) | 2023.08.14 |
[와이스트릿] 하워드 막스 '투자에 대한 생각' (0) | 2023.08.14 |
[부동산김사부TV] 영끌해서 망하는 것이 아니라, 이걸 몰라서 망하는 것이다! (0) | 2023.08.14 |
[부룡의 부지런TV] 부동산 투자, 지방장 언제 살아날까요?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