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8. 10. 09:30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하이일드 스프레드 : 연쇄부도 확률(위험 지표)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 국채 수익률)
(Junk bond demand)
채권 시장 4%대(한 달 전과 비슷함 - 횡보)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완전 새삥 3.999%(과거 3.857%) 임.
* 걱정할 정도는 아님.
작년 10~11월 3.93, 4.13% > 박살 날 수도 있다는 걱정.
입찰 금리가 올라간다? > 시장이 졸아있다!
3월에도 은행 넘어간다 할 때 '채권 입찰 금리'가 올라감.
* 시장이 눈치를 볼 때 약한 고리가 터져나감.
약한 고리가 어딜까?
30년물 국채 금리(재무부발 유동성 흡수 충격, 4% 넘기가 힘듦)도 곧 발표하는데
금리가 낮으면 '유동성 긴축' 걱정이 사라질 수도(입찰률이 떨어지면 금리가 상승)
' 채권 시장'이 안 흔들린다는 것은 '시장에 돈이 많다!'라는 것임.
'묻 마 매도'가 나올 이유는? AI 실적 박살? 아님.
'CPI(YoY)'가 솟으면 조정이 올 것임.
*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는 시장이 조정을 받음.(반대도 마찬가지)
'Core CPI'(변동성 큰 에너지, 식음료 제외), 'GDP'.
GDP(인건비 상승으로 70%가 소비)가 잘 버티면서
물가가 천천히 내려오면서 기준 금리가 천천히 내려오면 '골디락스'(연착륙)
인플레이션이 안 떨어지는데 GDP가 떨어지면? 조정이 옴.
* 연준의 1월 CPI 계산공식 변경 > 에너지 비율이 떨어짐.(렌트비, 생필품, 에너지 등)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욕심 VS 현실 (0) | 2023.08.10 |
---|---|
[설명왕_테이버] 부자들은 채권을 왜 사고 있을까?(현금/채권/주식/부동산/코인) (0) | 2023.08.10 |
[부동산쿨TV] 부동산 투자, 정부의 양도세, 취득세 완화 정책은 언제? (0) | 2023.08.09 |
[설명왕_테이버] 나의 레버리지는 알아도 '남의 레버리지'는 모릅니다 (0) | 2023.08.09 |
[설명왕_테이버] CJ 그룹, CJ CGV 또 유상증자? (0)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