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우리나라에 '구직 단념자'가 많은 이유 (다양성과 창의성)
2023. 8. 2. 17:41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사회구조 자체가 도태되기 위한 '양극화'가 되어버림.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짐.
핵심 인력만 정규직으로 고용하고 비정규직으로 돌려버림.
질 좋은 일자리가 그만큼 사라짐.
취업의 문턱도 좁아지고 경쟁만 치열해지고
취준생 신분만 길어지고 '스펙'만 점점 쌓이고 있음.
도태되는 사람도 많아짐.
우리나라는 최빈국에서 시작해서 가진 건 사람 밖에 없어서
수십 년 동안 사람을 갈아 넣어 성장해 왔음.
그런데 그 제조업 시대가 머물고 저출산으로 일할 사람도 줄어들고 있음.
'양'으로 일해주는 분위기도 아님.
이제 질로 봐야 하는데 창의성이 필요함.
창의성은 다양성에서 나옴.
그런데 아직도 입시 경쟁과 취업 경쟁에 아이들을 몰아얺고 있음.
고도 성장기 때나 먹히던 전략을 개인이 가진 개성과
전혀 상관없이 제조업형 인재와 대졸자를 양산해 왔는데
지금은 4차 산업혁명임.(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그러니 '유연성'이 없음.
자신만의 잘하는 것과 때가 다를 수밖에 없는데 인정을 안 해줌.
10대 공부, 20대 취업, 30대 결혼, 여기서 낙오되면 실패자로 만들어버림.
그리고 여기서 '잠재력'이 낭비됨.
표준보다는 느려도 경쟁이랑 기질이 안 맞아도
자기만의 세게에서도 자기만의 템포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그래야 인력을 활용할 수 있음.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알고리즘 매매가 점점 강화된다면? (0) | 2023.08.02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BOJ vs Wall.st, 왜 전쟁을 시작했을까? (0) | 2023.08.02 |
[주식초등학교] 주식 투자 해야하는 이유 : 월급이 오르는 속도 VS 기업이 성장하는 속도 (존리) (0) | 2023.08.02 |
[설명왕_테이버] 미국 고용이 좋으면 연준은 어떤 결정을 내릴까? (0) | 2023.08.02 |
[설명왕_테이버] 인도 투자? 국가가 발전하면서 뜨는 섹터 (ETF vs ETN)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