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초등학교] 주식 투자 해야하는 이유 : 월급이 오르는 속도 VS 기업이 성장하는 속도 (존리)

2023. 8. 2. 14:3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Q. 예측하기 어려운 주식 시장 투자방법은?

가장 하지 말아야 할 것 중 하나는 경제학자를 믿는 것임.

투자 =X 경제.

경제학자들은 항상 공포를 이야기함.

그런데 그 공포감을 이겨야 함.

중간중간 언제 어디서 경제가 나빠지고 좋아지고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음.

거치게 되어있음.

사람들은 떨어지면 팔고 오르면 삼.

그러니 '마켓 타이밍' 하지 말고 'Fully Invest' 해야 함.

월급의 몇 % 씩 꾸준히 투자하면 됨.

심플하게 해야 하고 자본주의의 룰만 기억하면 됨.

'좋은 기업은 계속 돈을 벌 거다!'

공부를 하면서 망할 기업을 걸러내야 함.

가장 중요한 것은 '이자율'.

이자율이 높으면 주식 시장에 침체가 조금 오고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심이 많음.

이자율은 어떻게 될 것인가?

경기 침체를 함부로 말할 수 없음.

아는 사람은 한 명도 없음.(미래 예측은 누구도 할 수 없음.)

도박해서 부자가 된 사람은 없음.

예측 가능한 기업에 투자를 하면 됨.

주식 가격은 예측이 불가능함.

확실한 것은 기업은 돈을 벌려고 하는 것임.

어느 회사가 돈을 잘 벌 것인지만 보면 됨.

 

Q. 전수해 줄 주식투자 노하우?

보통 시장은 과잉 반응함.

이때 저평가 기업을 찾는 '현명함'이 필요함.

시가총액이 얼마인지 1년에 번 돈이 얼마인지

과거 5년 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벌었는지.

차트를 보고 투자하는 것은 '겜블'임.

주식은 과학이 아님.

라이프 스타일이고 펀더멘털임.

전업 투자자가 되면 안 됨.(매일 차트만 보게 됨.)

 

Q. 주식 투자에 매도 타이밍은?

타이밍은 없음.

세상에 단 한 명도 없음.

다만 몇 가지 룰이 있음.

 

좋다고 생각했는데 잘못 산 경우.

더 좋은 경쟁사가 나왔을 경우.

세상이 변해서 기술이나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해서 호재가 없을 경우. ex) 코닥.

* 부가 가치에 따라 이동.

타이밍을 맞춰서 사고 판다? 안 됨.

무턱대고 싸게 살려고 하면 안 됨.

(가격은 중요하지 않음.) - 도박임.

 

Q. 언제 주식을 팔아야 할까?

5~10년 후.

회사가 성장할 시간을 줘야 함.

애초에 회사 매출액이 증가할 것을 예상하니까 투자한 것임.

능력을 믿는 것.(리서치가 필요) - 무슨 물건을 만드는지, 경영진의 자질 등.

위기 극복 능력, 마인드, 경쟁사 등.

 

Q.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위해서 일함.

우리는 어렸을 때 자본가가 부자가 되는 세상

'자본주의'에 살고 있기 때문에 '자본가'가 되려고 노력해야 함.

회사 사장님은 부자고 직원은 부자가 아님.

그건 어쩔 수 없음.

자본이 일을 하기 때문임.

교육부터 바꿔야 함.

창업을 하게 되면 기업을 이끌면 부자가 됨.

그런데 다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창업'이나 '주식 투자'를 해야 함.

돈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안 하는 사람임.

자본가가 되라고 가르쳐야 함.

어떤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면 배당도 주고 가치도 상승함.

틈틈이 월급의 10% 투자한 것이 20~30년이 흐른 다음

나를 위해서 일하게 되는 것임.

그러면 은퇴도 가능함.

돈이 없으면 은퇴를 하지 못함.

잠을 자더라도 누군가 나를 위해 일을 하고 있어야 함.

노동에는 한계가 있음.

잠도 자야 하고 늙음.

월급이 올라가는 것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음.

일부분은 투자해서 그 돈이 일을 할 때 부자가 됨.

 

주식 투자를 단기간의 수익률로 하면 안 됨.

수익률은 올라갔다 내려갔다 반복함.

6개월 좋다고 해서 다음에 좋다는 보장도 없음.

근본은 회사의 결실을 오랫동안 같이 공유하는 것임.

'기업'을 소유한다는 생각.

 

Q. 워런 버핏, 빌 게이츠 등 부자들의 포트폴리오 따라 하기

어떻게 생각하세요?

투자방법은 모두 다르지만 공통점이 있음.

장기 투자 + 여유 자금 + 기업 가치.

어떤 사람은 A를 더 가치 있게 보고 어떤 사람은 B를 가치 있게

생각은 틀릴 수 있지만 기본 원리는 같음.

'동업하듯이 투자해라!'

기업은 성장함.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는 월급이 올라가는 것보다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임.

소비를 투자로 바꾸어야 함.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필수임.

 

'복리의 마법'

복리가 5년이면 효과를 못 보지만

10~20년이 되면 그래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워런 버핏은 11세에 시작해서 60세에 엄청난 부자가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