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16. 11:0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2021년도 6월에 68억 원에 매입함.(대출 60억)
60억 영끌.
90%가 넘음.
당시 금리가 1~2%였음.
메인 자리가 지금 공실이 된 지 6개월임.
알짜배기로 구조조정을 함.
대지가 130평, 평당가가 5,500만 원.
2종 일반 주거지역.
용적률 인센티브로 240%까지 했음.(원래 200%)
'공간 활용도'가 좋은 건물이라 매입을 함.
변동 금리 4%, 90% 영끌.
1년에 2억 4천이고 이자만 2,000만 원.
고정 지출은 1억 정도.
건물에 60억 집에 14억 자동차 리스 총 6억.
80억 정도 대출이 잡혀있었음.
4,000만 원 정도 나갔음.
건물 같은 경우 이자가 7%까지 올랐음.
50억 건물 담보 + 8억 아파트 담보 + 2억 신용대출.
겉모습만 번지 지르르하게 보여주기보다는 실제 삶을 오픈하는 것이 속이 편함.
누가 협박한 것도 아니고 고통을 감내해야 함.
기분 나빠할 상황이 아니라 해결을 해야 함.
건물을 살 때 1 금융권에서 안 나옴(탁감가)
리스크가 너무 컸기 때문임.
농협, 수협, 새마을금고 등이 공격적으로 해줌.
거의 2년이 되었는데 '탁감가'가 81억까지 올라감.
우선 원금을 줄이고자 했음.(월 부담 고정시키기)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망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가지고 있던 것, 주식, 회사지분, 골프회원권, 차량을
헐값에 다 정리함.(손해 5~6억 원) - 지금 안 팔면 자산을 처분했음.
(안 팔았으면 더 조급해져서 아마 잘못된 의사결정을 했을 수도 있음.)
올해 경기가 안 좋아질 것이라는 것에 '베팅'을 했음.
사업은 결국 '베팅'임.
지금은 '몸집 줄이기'를 하고 있음.
시설, 권리금, 애정을 포기하고 나오기가 힘듦.
상승기 때는 제대로 받을 수 있는데 하반기 때는 영업장 가치를 버려야 함.
그래서 계속 '버티기'를 했음.
* 어차피 '미래'를 알 수 없음.
'건물주'가 되었을 땐 엄청 좋았음.
그런데 2층 세입자가 바로 떠나면서 보증금을 내주고
수리나 여러 가지를 하면서 공실들이 있었는데 '철거'하고
다시 만드는 '과정'이 힘들었음.
건물 사면 돈이 더 들어감.
* 건물의 가격 + 취득세(4.6%) + 수리보수 + 임대료 대비 이자
68억 건물에 2년 동안 부가적으로 8억이 더 나옴.(원가는 76억)
* 소방점검 - 소방 시설
건물을 공부 안 하고 사면할 게 엄청 많음.(수업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셀TV] 80억 빌딩 영끌하고 슈퍼카를 사고 자랑하는 이유는? (0) | 2023.07.16 |
---|---|
[빌사남] 무신사가 '성수동'에 투자한 빌딩들과 그 '수익' (0) | 2023.07.16 |
[김작가TV] 주식 투자로 돈을 벌고 싶다면 반드시 보세요 (박세익) (0) | 2023.07.16 |
[구만수] 방송에서 아파트 추천해주는 사람 다 사기꾼입니다 (0) | 2023.07.16 |
[설명왕_테이버] 고금리 유지? (연준과 월가의 뷰 차이) (0) | 2023.07.15 |